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王念孫《詩經古韻譜》운례 연구

The study of the 王念孫《詩經古韻譜》

  • 14
커버이미지 없음

《古韻譜》는 왕념손의 고음 연구가 반영된 결과물이다. 《古韻譜》에 실려 있는 《詩經》、군경、《楚辭》 중에서도 고음관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근거 자료 역할을 하였던 《詩經》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詩經古韻譜》 韻例는 양적으로도 압도적인 우세를 점하고 있으며 이 자료를 통해 왕념손은 고음 21부를 도출해 내었다. 왕념손의 운부개념은 21부에서 22부로 변화를 가지게 되는데 그 과정에 冬부가 있다. 《詩經古韻譜》의 東부에서 冬부를 독립해 내어 22부의 운부 체계로 맞추어 놓았다. 왕념손의 22부는 청대고음학 고고파의 최종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古韵谱》是王念孙研究古音的著作,其中收录了《诗经》、群经、《楚辞》。《诗经》是研究古音最重要的资料,本文以《古韵谱》中的《诗经》为研究对象。《诗经古韵谱》的韵例在数量上占有压倒性的优势,通过该资料得出王念孙创造了古音21部的结论。但是王念孙的韵部体系从21部变为了22部,原因是从21部中的“东部”独立出来了一个“冬部”。王念孙的22部是清代古音学考古派的最终结果,因此它具有重大的意义。

《古韻譜》 is the result of the study of Wang Nian-son. Among the 《詩經》, military affairs, and 《楚辭》、群經 , I selected 《詩經》, which served as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evidence for treble notion. 《詩經古韻譜》 韻例 has an overwhelming advantage in terms of quantity, and from this data Wang Nian-son derives 21 high-pitched notes. Wang Nian-son s concept of luck changes from 21 to 22, and in the process there is a negative part. In 《詩經古韻譜》, the 冬 part was independent from the eastern part, and it was set up as a 22 part luck system. The 22nd part of Wang Nian-son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nal result of the Qingdaiguyunxue.

Ⅰ. 서론

Ⅱ. 王念孫《詩經古韻譜》운례 분석

Ⅲ.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