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교류분석의 자아상태와 인생태도에 근거한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Marriage Intentions of Unmarried men and women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Ego state and Life position

  • 241
154535.jpg

본 연구목적은 미혼남녀의 자아상태와 인생태도가 정서적․당위적․기능적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미혼남녀 570명(20-40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549명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관련하여 정서적 결혼의향은 성별 및 월평균소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당위적과 기능적 결혼의향은 성별, 최종학력, 직업, 연령, 월평균소득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미혼남녀의 자아상태 변인 중 통제적 부모자아와 양육적 부모자아가 정서적․당위적․기능적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미혼남녀의 인생태도 변인 중 자기긍정이 정서적․당위적․기능적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며, 인생태도 변인인 자기부정은 정서적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 대한 함의는 저출산 및 혼인관련 국가정책 방안 마련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 및 교류분석적 관점의 결혼의향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인구사회적 변인을 고려햐여 교류분석적 주요개념과 결혼의향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mpact of unmarried men and women s ego-state and life position toward life on their emotional, normative, and functional intentions for marriage. As a way of doing this, an online survey of 570 un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40s across the country was conducted, and 549 people were analyzed,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and monthly marriage intentions in relation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variable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y and functional marriage intentions in terms of gender, final education, occupation, age, and average monthly income. Secondly, among the changes in the ego-state of unmarried men and women, controlled parents and nurturing parents affected the intention of emotional, normative and functional marriage. Thirdly, self-positive among unmarried men and women s life position toward life affected emotional, normative, and functional intentions of marriage, and self-denial, which is also a variable in life, affected emotional intent of marriag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can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national policy measures related to low birth rates and marriage, and provide ways to promote marriage intentions from transactional analysis perspective. Further study needs to explore the main variable of transactional analysis and marriage intentions, taking into account more diverse demographic and social variable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