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의 소외 경험
The Experience of Alienation of Marriage Migrant Women in the Healthy Family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 한국다문화복지학회
-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 복지와 문화다양성 연구 제2권 제2호
- : KCI등재후보
- 2020.12
- 41 - 73 (33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 중 일부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에 있어 소외되는 현상을 이해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 많은 결혼이주여성은 한국 사회에서 여성이자 이주민이라는 이유로 이중적 소외자로서의 경험을 한다.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결혼이주민과 그 가족의 복지를 증진하기 위한 기관이므로 이러한 결혼이주여성의 이중적 소외를 완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과연 정말 그러한가, 아니면 결혼이주여성의 이중적 소외를 유지 및 강화하는 측면이 있지는 않은가?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 당사자에게 직접 의견을 묻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어떤 결혼이주여성이 어떻게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이용에서 소외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 사회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결혼이주여성에게 여성이자 이주민으로서 기대되는 특정 이미지를 규정하고 있었고, 그것에 걸맞지 않은 결혼이주여성은 소외를 경험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소외 경험을 줄이기 위하여 방문 서비스, 다양한 취업 지원서비스, 다국어 안내 서비스, 자조모임, 실무자 역량 등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determine the causes of the phenomenon of some of the marriage migrant women being alienated from the use of the service at the Healthy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Many marriage migrant women experience dual alienation as being both women and migrants in Korean society. Since the Healthy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s an institution to promote the welfare of married immigrants and their families, it is expected to ease the dual alienation of married migrant women. But is it really so, or is there any aspect of maintaining and strengthening the dual alienation of married migrant women? Hence, a qualitative research was done to identify which marriage migrant women are excluded from the use of the Healthy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by directly asking to marriage migrant women themselves. As a result, the center as well as Korean society set up specific images expected for marriage migrant women as women and migrants, and marriage migrant women who did not meet the images experienced alienation. Therefore, it was proposed to strengthen visiting services, various employment support services, multilingual guidance services and self-help groups to reduce such alienation experiences.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