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신중년 구직자의 취업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Analysis on the Educational Needs of Employment Competencies of New Middle-aged Job Seekers

  • 252

본 연구는 재취업으로 새로운 삶을 준비하는 신중년 구직자의 취업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신중년 구직자 245명을 대상으로 취업역량을 조사하였다. 구직동기역량, 구직준비역량, 직업기초역량, 직업적응역량의 4개 역량군과 16개 하위역량으로 구성되어 있는 신중년 구직자의 취업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현재수준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교육요구도를 확인할 수 있는 t-검정,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신중년 구직자의 취업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수준은 16개 하위역량 전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 중에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은 최우선순위 역량은 취업욕구, 정보 ․ 자원활용, 변화적응, 자기개발, 고용몰입으로 나타났으며, 차순위 역량은 자기이해 ․ 구직설계, 조직이해로 나타났다. 이러한 신중년 구직자의 취업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바탕으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상담서비스, 일자리 연계 등의 체계적인 지원 정책을 마련한다면 이들의 진로개발과 직업적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about the employment competencies of neo middle-aged job seekers who prepare for new life as a re-employment. This study is investigated employment competencies with 245 neo middle-aged job seekers. The employment competencies of neo middle-aged job seekers were composed of 4 competency clusters and 16 sub-competencies focusing on job-seeking motivation, job-seeking preparation, vocational basic competencies, and vocational adjustment and was investigated about the level of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Based on this, this study was analyzed t-test, Borich educational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As a result, the difference between level of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for employment competency of neo middle-aged job seek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16 sub-competencies. The top priorities of educational needs of employment competencies for neo middle-aged job seekers were four items such as employment needs, information ․ resources utilization, adjustment to change and employment immersion. The second-highest competencies included self-understanding, job-seeking design, and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Through the results of educational needs about the employment competencies of neo middle-aged job seekers, this study can expect that career development and adjustment of neo middle-aged job seekers are achieved effectively using systematic support policies such as educational program, counselling service and job information.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