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누가 교직을 떠나려 하는가? 중학교 교사 교직 이탈 가능성 예측요인 분석

Who Will Be Likely To Leave the Teaching Profession? Predictors of Middle School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in South Korea

  • 300

본 연구는 교원 및 교직환경 국제비교조사(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이하 TALIS) 2018 자료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교사의 교직 이탈(teacher attrition) 가능성 예측요인을 분석하였다. 교직 이탈 가능성은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향후 5년 이내에 교직을 떠나고 싶은 여부로 조작적 정의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학교 교사들 가운데 교직 이탈 가능성이 있는 교사들의 비율은 약 25%였다. 그러나 교직 이탈 가능성은 연령대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20대 교사의 교직 이탈 가능성 비율은 3%에 불과하였으나, 50대 이상의 경우 그 비율이 60%에 이르렀다. 한편,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연령대와 상관없이 교직 만족도가 낮을수록 교직 이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교사의 경우 교직 경력과 직무관련 스트레스가 교직 이탈 가능성과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었다. 50대 이상의 교사의 경우 석·박사 학위 취득 유무와 교직 경력이 교직 이탈 가능성과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edictors of turnover intentions among middle school teachers in South Korea, using data from the 2018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TALIS). Here, the turnover intention was operationalized as the intention to leave the teaching profession in the next five years.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those who are likely to leave the teaching profession in the next five years among Korean middle school teachers was approximately 25%. This likelihood, however, significantly differed by the age groups. For example, the proportion of those who are likely to leave the teaching profession in the next five years was approximately 3% among early career teachers in their 20s, but the corresponding proportion was 60% among teachers in their 50s.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eaching profession wa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likelihood of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for all age groups, with other things being equal. For teachers in their 40s, job stress was another significant predictor of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For teachers in their 50s, having a graduate degree and longer teaching experiences were additionally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likelihood of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