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활동참여수준과 인지기능 및 연령과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Activity Participation and Cognition Function and Age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 김정은(Kim, Jeong-Eun) 정남해(Jung, Nam-Hae)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 제12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12
- 57 - 65 (9 pages)
연구목적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재가노인의 활동참여수준과 인지기능 및 연령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9년 10월 1일부터 동년 11월 16일까지 재가노인 31명을 대상으로 K-ACS와 CERAD-K로 활동참여수준과 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으로 기술통계, Spearman rank-order 상관분석, Kruskal-Wallis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에 참여한 재가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수준은 언어능력, 학습정보 기억력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그 외 활동참여수준과 인지기능 간에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연령과 모든 활동참여보유율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노인들의 활동 참여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관련있는 인지기능 하위 요소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 결과는 노인의 다양한 활동 영역에서의 독립적 수행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o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activity and cognition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1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using K-ACS, CERAD-K.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 and Kruskal-Wallis variance analysis using SPSS 22.0. Results :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showed a significant amount of correlation with language ability, memory of learning information, and there was no other significant correlation. Total activity participation level in overall activities all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the activities. Conclusion :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activity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various studies are required on the cognitive subfactor that affect them. It will be available as basic study for independent performance in various activities of the elderly.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