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데이터를 이용한 건강보험 작업치료 진료금액, 환자수, 사용량에 미치는 영향분석: 2017~2019년
Analysis of Impact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Occupational Therapy Cost of treatment, Number of patients, and Number of treatments Based on Public Data: 2017~2019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 제12권 제2호
-
2020.1213 - 24 (12 pages)
- 이용수 133

초록
연구목적 : 의료기관에서 건강보험 급여로 시행되고 있는 작업치료와 관련하여 성별, 연령별, 작업치료 진료행위가 진료결과(진료금액, 환자수, 사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함으로써 건강보험 급여로 시행되는 작업치료 진료행위의 현황과 향후 연구⋅통계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방법 :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개년도의 건강보험 작업치료 진료 관련 데이터를 보건의료빅데이터 개방시스템을 통해 수집하였다. 이후 분석을 위해 독립변수 및 종속변수를 설정하고, 통계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 작업치료 진료금액, 환자수, 사용량과 환자 1인당 작업치료 사용량, 환자 1인당 작업치료 진료금액은 2017년 대비 2019년 모두 증가하였다. 진료행위별 분석에서는 진료금액, 사용량은 특수작업치료 (MM113)가 가장 많았으며 환자수는 복합작업치료(MM112)가 많았다. 회귀모형 분석에서 특수작업 치료(MM113)가 진료금액, 환자수, 사용량 증가에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으며 가장 작은 영향을 미친것은 모든 각 회귀모형에서 표준화 계수가 음의 값으로 가장 크게 나온 단순작업치료(MM111)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최신의 건강보험 작업치료 경향에 대하여 알아볼 수 있었으며, 향후 건강보험 작업치료의 변화에 대해서도 지속해서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occupational therapy and analysis of impact on Cost of treatment, Number of patients, and Number of treatments based on public data. Methods : The status of NHIS occupational therapy were gathered through Healthcare Bigdata Hub from 2017 to 2019.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set for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 The occupational therapy Cost of treatment, Number of patients, Number of treatments, The number of patient(per occupational therapist), and Occupational Therapist NHIS Income (per Occupational Therapist and per treatment) all increased in 2019 compared to 2017. As a result of analysis by Treatment Action, MM113 was the most for Cost of treatment and Number of treatments, and MM112 was the most for the Number of patients.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MM113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increase in Cost of treatment, Number of patients, Number of treatments. The smallest influence was MM111, whose standardization coefficient was the largest negative value in all regression models. Conclusion : Through this s tudy, w e were a ble to f ind out t he l atest trend s in NHIS occupational t herapy. In the future, data should be continuously collected and analyzed for changes in NHIS occupational therap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8)
- 비대면시대의 허약노인을 위한 셀프케어 지원 방안
- 공공데이터를 이용한 건강보험 작업치료 진료금액, 환자수, 사용량에 미치는 영향분석: 2017~2019년
- 장애인 건강보건관리사업의 인식도와 중요도 연구: 보건소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 지원 활성화를 중심으로
- 슬링 감각운동훈련 프로그램이 무릎 골관절염 고령환자의 통증과 기능 수준에 미치는 효과
- 노인 복지시설 스포츠 프로그램 참여동기와 여가만족의 관계
-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활동참여수준과 인지기능 및 연령과의 상관관계
- 노인 대상 보행 프로그램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고령자와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도: 작업치료학과 대상
- 작업치료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연구 경향 분석
- 그룹 다감각자극 프로그램이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 전⋅후기 노인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이 식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구강건강과 인지장애에 관한 연구
- 입원 노인 환자를 위한 작업-기반 수면중재 프로그램 효과: 단일사례연구
- 노년층의 여가활동 참여실태 및 만족도에 대한 조사연구
-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 심리사회적 의존성과 자아통합감 간의 관계에서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효과: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 노인들의 안전인식 향상을 위한 보드도구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
추천 논문
-
김정화(Kim Jeong-hwa)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법학논총 제26권 제1호 2019.04
-
이현옥(Hyun Ok Lee), 김교성(Kyo seong K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44권 2015.03
-
성명재(Myung Jae Sung)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재정학연구 제10권 제2호 2017.05
-
건강보험제도 새로운 틀을 제안하면서선택없음이규식 건강안전복지연합 (구.건강복지정책연구원) 건강복지정책연구원 Issue Paper 제32호 2018.07
-
국민건강보험과 민간건강보험의 보완적 발전모형KCI등재오영수(Oh Young Soo) 한국사회조사연구소 사회연구 2003년 제2호 2003.10
최근이용논문
-
권상옥(Sang-ok Kwon) 한국의철학회 의철학연구 제2권 2006.12
-
이현우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권 199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