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의 구강건강과 인지장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al health problems and cognition in the elderly
- 박수희(Park, Soo-Hee)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 제12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12
- 169 - 175 (7 pages)
연구목적 : 최근 치매 예방의 한 방안으로 구강건강 관리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통해 파악된 노인의 구강건강과 인지장애에 관해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한 대상자 중 노인 69,330명의 구강건강과 인지장애 경험여부 사이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은 빈도분석, 인지상태와 수면의 문제는 독립표본 t-test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주관적 구강건강 문제, 저작불편 경험은 인지장애를 경험한 집단에서 인지장애를 가지지 않은 집단 보다 문제를 더 많이 나타냈다(p<.05). 또한 치매선별검사를 받아 본 집단에서 주관적 구강건강 문제와 저작불편 경험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결론 : 연구 결과 노인의 구강 문제와 인지 문제에 관해 규명할 수 있었다. 이 결과들은 구강건강관리가 인지장애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bout oral health and cognitive status among Koreans using the data from the Community Health Survey (CHS). Methods :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about oral health and cognitive status of 69,330 of the 2019 CHS. The sample was divided into groups and define the names of each group. Participa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d cognitive problem and sleep problem parameters were analyzed with t-tests.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oral health, experience of mastication discomfort, between with cognitive problem group and without cognitive problem(p-0.0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oral health, experience of mastication discomfort, between dementia screening test group and do not have dementia screening test group(p-0.00). Conclusion :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oral health and cognitive problems in the elderly.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preparing oral health programs in cognitive intervention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