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아영분지 고분 조영 세력의 성격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 고분의 구조, 유물 부장 양상의 유사도, 발형기대와 마구의 형태 특징을 분석하여 가야 중심지의 주요 고분과 비교했다. 남원 아영분지는 남강 수계 장악을 의도한 백제가 세력을 확장해 오면서 지정학적 가치가 높아졌다. 5세기 2/4분기에는 부산·함안·합천 지역과 밀접한 집단이 이주해 와서 청계리 고분군을 조영했다. 5세기 3/4~ 4/4분기에는 월산리 고분군을 중심으로 백제로부터 위세품을 증여받는 독립 수장층으로 성장했다. 6세기 1/4 분기에는 백제와 교섭이 일부 유지되지만 물질문화의 기반이 고령의 대가야로 일원화되는 양상이 간취되는데 낙동강 하구의 가야 세력에 대한 신라의 영향력 강화, 백제 대외교통로의 변화 상황과 연동된 결과로 판단된다. 남원 아영분지 내에 위치를 달리하여 서로 다른 성격의 고분이 조영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이 집단의교체를 의미하는지, 동일 가계의 성격 변화인지는 알 수 없다. 현재까지 자료로 볼 때 아영분지 고총고분 조영은 가야 세력의 이주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데, 추후 토착세력으로 볼 만한 유의미한 조사 성과가 축적된다면 다른 해석도 가능하리라 본다.
In order to approa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tombs located in Ayeong Basin, Namwon, the structure of the tombs, the similarity of the burial patterns of the grave goo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pe of the pottery stands and horse gear from these tombs were analyzed and compared against that of the main ancient tombs of the central Gaya area. The geopolitical value of Namwon’s Ayeong Basin increased as Baekje, which intended to dominate the Namgang River system, expanded its influence. In the second quarter of the 5th century, groups close to Busan, Haman, and Hapcheon moved to the area of the ancient tombs of Cheonggye-ri. In the third and fourth quarters of the 5th century, the head of the area of the Walsan-ri Ancient Tombs grew into an independent head of state who received prestige gifts from Baekje. In the first quarter of the 6th century, interaction with Baekje were maintained, but the foundations of the material culture became similar to that of the ancient Gaya Kingdom. This change is believed to have been linked with the strengthening of Silla’s influence over Gaya forces at the mouth of the Nakdonggang River and the change of Baekje’s external transportation routes.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basin were home to different types of ancient tombs, but it is not clear whether this represents a replacement of groups or a change within the same group of the linage that held power. Based on the data accumulated thus far, it appears that the relocation of the ancient tombs of the Ayeong Basin was caused by the migration of Gaya forces, but other interpretations may be possible if significant research results that point towards indigenous forces are accumulated in the future.
Ⅰ. 머리말
Ⅱ. 남원 아영분지와 가야 중심지 고분의 유사도 검토
Ⅲ. 남원 아영분지 고분의 편년
Ⅳ. 남원 아영분지 고분의 조영과정과 의미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