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외상경험이 있는 중년기 성인의 지각된 배우자지지, 외상후성장, 회복탄력성,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pouse Support, Post Traumatic Growth, Resilience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Middle-Aged Adults with Trauma Experiences

  • 1,261
154857.jpg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경험이 있는 중년기 성인의 지각된 배우자지지와 외상후성장, 회복탄력성,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외상 경험이 있는 중년기 성인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혼자 및 사실혼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241명을 최종 자료로 사용했다. 외상경험이 있는 중년기 성인의 지각된 배우자지지를 독립변인으로, 외상후성장을 종속변인으로, 회복탄력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매개변인으로 구성한 모형의 경로를 구조방정식모델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경험이 있는 중년기 성인의 지각된 배우자지지와 외상후성장 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완전매개 하였다. 둘째, 지각된 배우자지지와 외상후성장 간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완전매개 하였다. 셋째, 지각된 배우자지지와 외상후성장 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순차적으로 완전매개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각된 배우자지지는 외상을 경험한 개인의 외상후성장에 있어서 변화를 도울 수 있는 영향요인이 될 수 있으나, 이러한 배우자지지가 직접적인 영향요인이기 보다는 회복탄력성 및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거쳐서 개인의 외상후성장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pouse support, post-traumatic growth, resilience,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f middle-aged adults with traumatic experience. Method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12 middle-aged adults with trauma experienc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241 people who are married and maintain a common-law relationship were used as final data. Results: First, resilience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pouse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of middle-aged adults with traumatic experience. Second, the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pouse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pouse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resilience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ere sequentially completely mediated. Conclusions: Spousal support perce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n influencing factor that can help change in post-traumatic growth of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trauma, but such spouse support is not a direct influencing factor, but rather resilience and adaptive cognitive support.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ost-traumatic growth of individual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