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688.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화식 책읽기 활동이 경도지적장애아동의 결속표지 사용과 이야기 문법 회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ialogic Reading Intervention on the Cohesive Devices and Story Grammar of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DOI : 10.24009/ksehli.2020.11.3.004
  • 188

이 연구는 대화식 책읽기 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결속표지 사용과 이야기 문법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경도지적장애 3명이었으며, 중재효과는 사전사후비교설계와 질적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속표지의 정확률은 사전검사에서는 87.22%, 사후검사에서는 98.71%로 향상되었고, 전반적으로 적절한 결속표지 증가는 미미하였지만 부적절한 결속표지는 감소하였다. 둘째, 이야기 문법 전체 회상률은 사전검사에서는 50.31%, 사후검사에서는 69.81%로 향상되었고, 이야기 문법 하위유형별 범주에서 더 많은 에피소드를 산출하며 양적인 이야기 문법 수뿐만 아니라 계기사건, 시도, 결과가 증가함에 따라 질적인 부분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를 통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대화식 책읽기 활동이 지적장애아동 결속표지와 이야기 문법의 전반적인 이야기 산출능력과 응집성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대화식 책읽기 활동의 효과를 제시하는 것으로 교사, 언어재활사, 부모가 대화식 책읽기 활동을 하는 것이 의의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alogic reading activities on the use of cohesive devices and improvement of story grammar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 pati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intervention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pre- and post-comparison design and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curacy rate of the cohesive devices improved from 87.22% to 98.71%. Overall, the increase in the appropriate cohesive devices was insignificant but improved, and the inappropriate cohesive devices decreased. Second, the overall recall rate of story grammar was improved from 50.31% to 69.81%, and more episodes were produced in each category of story grammar subtypes, and not only the number of quantitative story grammar but also the qualitative part showed positive changes as the initiating events, attempts, and results in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systematic and continuous interactive reading activities improved the overall story production ability and coherence of the cohesive devices and story grammar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study presents the effect of systematic dialogic reading activities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ggesting that the dialogic reading activities of teachers, speech-language pathologist, and parents are important.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