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중학교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핵심개념 ‘관계’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lan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for Media Literacy: Focusing on Core Concept of ‘Relationship’

DOI : 10.19031/jkheea.2020.12.32.4.1
  • 604

이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육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개정 가정과교육과정의 핵심개념 ‘관계’ 관련 단원에 대해 ADDIE 단계로 10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활동지, 수업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의 1~6차시를 실행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양적,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참가자의 미디어 접근 능력과 미디어에대한 비판적 이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그리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고 미디어를 제작하는 능력도향상되었다. 질적 분석 결과 수업에 참여했던 학생들은 미디어 리터러시 수행목표 전반에 걸쳐 변화가 있었고 특히, ‘비판적이해와 평가’에 있어서의 변화를 많이 인지하였다. 미디어 이용 윤리와 사회참여 의식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정 교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를 함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가정과 교육에서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의 수용성 향상, 가정과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전문성 제고, 현장의 수업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media literacy through home economics education. To this end, in this study, developedwere 10 teaching-learning plans, learning activity sheets, and teaching materials for the ‘relationship’ area, the core conceptof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using the ADDIE method. Pre- and post-survey results after implementing the developed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enhancing participants’ ability to access media and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Through this, also found was that the abilityto express and produce one’s own thoughts and feelings has improved. As a result of a qualitative analysis, it was found that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experienced an overall change in the performance goals of media literacy, especially in‘critical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and improved in media use ethics and social participation consciousness as well.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has developed a program that can foster media literacy in home economics education. It isexpected to help improve the acceptability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enhancement of the expertiseof home economics teachers’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fiel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