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사회언어학 방면의 한ㆍ중 언어접촉 연구

Socio-Linguistic study of the Sino-Korean language interaction : Focused on Vocabulary

  • 185

각 나라와 민족 간의 교류접촉은 언어라는 중요한 매체를 떠나서는 야기할 수 없다. 한국과 중국 이 두 나라의 우의는 역사가 매우 유구하며, 두 나라는 수천 년의 긴 시간동안 언어문화의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그중 한국과 중국의 두 언어가 상호간에 미치는 영향은 절대적이다. 중국의 한자가 한국에 유입되면서 양국은 공통의 문자를 사용했고, 그것은 두 나라언어의 어휘방면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본 논문은 사회언어학을 중점으로 한국어와 중국어가 상호간에 미친 영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제1장은 한자 어의(語義)의 근원으로, 제1절부터 제4절까지 구성되어 있다. 제1절은 한자의 유입시기 및 경로, 현재 한국어에서 차지하고 있는 한자어의 점유율 등을 연구하고, 중국의 영향을 받아 한국에 유입 된 한자어에 대해 논구하고자 한다. 제2절은 중국에서 유입 된 한국한자어의 유형을 중심으로, 오늘날 한국한자어에서 존재하는 동의이음(同義異音)한자어, 동형동의(同形同義)한자어, 동형이의(同形異義)한자어, 이형동의(異形同義)한자어에 대해 서술하여 중국의 사회문화와 민족문화, 제도문화가 한국어휘에 끼친 영향에 대해 연구한다. 제3절은 동형동의어, 동음동의(同音同義)어, 이형동의어 이 세 유형으로 구분하여 한국의 영향을 받아 중국으로 유입된 한국어휘를 중점으로 서술하며, 제4절은 한국의 역사문화, 제도문화, 민족문화, 음식문화가 중국어휘에 미친 영향에 대해 다루고 있다. 제2장은 고정용어로, 제1절부터 제6절까지 구성되어 있다. 제1절은 중국으로부터 한국에 유입 된 사자성어를 조사하여 사자성어가 어떤 경로를 통해 한국에 들어왔는지, 어느 시대에 중국의 사자성어가 가장 많이 유입되었는지 그래프를 통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제2절은 중국에서 유입 된 사자성어의 유형으로, 동형동의, 이서동의(異序同義), 동형이의, 이형동의로 분류하여 연구한다. 제3절은 지역적 배경과 문화적 환경에서 나타나는 우리민족 고유의 사자성어로, 한국 고유의 사자성어가 중국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해 다루고 있다. 제4절은 중국에서 유입 된 속담으로, 한중 속담의 유래 및 특징과 중국속담의 영향을 받은 한국 속담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제5절은 중국에서 유입 된 속담유형으로, 형식과 의미가 완전히 상통하는 동형동의 속담과 형식은 다르지만 의미가 상통하는 이형동의 속담 이 두 유형으로 나눠 한국의 문화사상과 결합되어 변천한 중국속담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마지막 제6절은 우리 민족 고유의 특질이 담긴 한국 고유의 속담으로, 한국 속담이 중국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연구한다. 본 논문은 언어접촉 연구로서 어휘를 중점으로 한국과 중국의 문화교류접촉을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 두 언어가 서로 맞닿을 때에 반드시 상호간의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한ㆍ중 두 언어의 어휘방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과정 및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사회언어학 관점에서 다루고 있는 본 논문은 새로운 시각의 독창성을 확보하는 것에 큰 기여를 하였으며, 지금까지 연구되거나 발표한 서적들을 바탕으로 중국어가 한국어에 미친 영향 외에, 한국어가 중국어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하여, 쌍 방향 연구의 형태유지 및 한쪽 방향의 단조로운 연구로부터 조성되는 편면성과 국한되는 한계성을 피하고자 노력했다.

Language is an essential factor on the subject of international relations. China and Korea have maintained a long-lasting relationship of cultural exchange. Furthermore, the influence that each language has upon each other is significant. With the Korean adop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 two countries shared a common character base. This thesis explores the interaction and influence the two languages have had upon each other with a focus on the socio-linguistic factor. The first chapter of this thesis explores the source of the Chinese characters and is subdivided into four sections. The first section studies the period and channel in which the Chinese character entered Korea, as well as the pervasiveness it has in the Korean language. The second section explores the Chinese-influenced Korean character in regards to homonyms,Synonyms,Homophone-synonym,synonyms in different forms, and further reconciles the Chinese “social, national, and institutional cultures” with the influence they have had on the Korean language. The third section examines the Korean influence on Chinese language with a focus on Synonyms,Homophone-synonym,synonyms in different forms. The fourth section discusses how the Korean “historical, institutional, national and food cultures” have influenced the Chinese language. The second chapter consists of 6 sections relating to idiom. The first section aims to explore the assimilation of Chinese idioms in the Korean language through the study of the medium of transmission and the chronological timing of the inflow which is illustrated through a graph. The second section analyzes the Chinese idioms introduced in the Korean language through categorizing them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Synonyms, Metathesis-synonym,Homophone-synonym, synonyms in different forms The third section explores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authentic and unique Korean idioms and studies how it has influenced the Chinese language. The fourth section studies the sour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proverbs and the influence they have had on those of Korean. By comparin synonyms common saying which have a common format and meaning with synonyms in different forms common saying which have differing formats by similar meanings the fifth section discusses how the Korean cultural ideals have evolved with Chinese proverbs. Section six studies the authentic and unique Korean proverbs and how they have influenced China. With a focus on linguistic contact, this paper analyzes the inevitable influence the two languages have upon each other as they interact through time and illustrates the research process and its results. This paper is written from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and attempts to offer a unique viewpoint. In addition to contributing to the body of literature which deals with the Chinese influence on the Korean language, this paper attempts to overcome the simplistic limitation of a unidirectional analysis by also studying the reciprocal influence of Korean on Chinese.

1. 서론

2. 어의(語義)의 근원

3. 고정용어(固定用語)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