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 스트레스,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Depression, Stress, and Ego-Resilience of Middle-Aged Women
- 최애나(Choi, Ae-Na)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예술심리치료연구
- 제16권 제4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12
- 103 - 120 (18 pages)
본 연구는 음악 치료 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우울, 스트레스,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 대상자는 S시에 거주하는 중년 여성 20명으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음악 치료 프로그램은 2019년 9월 1일부터 60분씩 주 2회씩 총 12회기에 걸쳐 시행하였다. 측정도구는 우울, 스트레스 척도와 자아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실험 집단이나 통제 집단에게 사전-사후 검사를 하였고 공변량 분석(ANCOVA)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음악 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음악 치료가 중년 여성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음악 치료가 중년 여성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음악 치료 프로그램은 중년 여성의 우울, 스트레스, 자아탄력성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effect of music therapy on middle-aged women s depression, stress, and ego-resil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0 middle-aged women who live in S city. Ten middle-aged women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10 middle-aged women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 The music therapy program was performed every 60 minutes twice a week, 12 times in total from July 1, 2019. The measurement tools are the depression scale, the stress scale and the ego-resilience scale. The pre- and post- test and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ere conduct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music therapy program affects the depression of the middle-aged women. Second, the music therapy program affects the stress of the middle-aged women. Thirdly, the music therapy program affects the ego-resilience of the middle-aged women. Therefore, this research proves that the music therapy program affects the depression, stress, and ego-resilience of the middle-aged wome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및 절차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