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전반기 ‘하게’체 어미와 ‘해’체 어미의 의미·기능 실현 양상 ―평서형 어미와 의문형 어미를 중심으로―
Realization of Meaning Function of ‘Hage’ style Endings and ‘Hae’ style Endings that Appeare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Focusing on Declarative Endings and Interrogative Endings-
- 78

이 연구는 20세기 전반기 ‘하게’체와 ‘해’체에서 형태가 같은 평서형과 의문형 어미를 중심으로 의미·기능 실현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20세기 초에서 현대국어로 이어지는 종결어미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하게’체 어미 중 일부는 ‘해’체로 분화되는데, 이유는 ‘하게’체와 ‘해’체로 실현될 때 기능이 같지 않아서다. 즉 ‘해’체 어미로 분류되는 것은 어미에 양태 의미가 나타날 뿐 아니라 ‘-요’와 결합해서 ‘해요’체가 실현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게’체 일부 형태가 문맥에 따라 의미·기능이 달리 실현됨으로써 하나의 형태에서 의미·기능이 분화돼 ‘하게’체와 ‘해’체로 나뉜다. 그런데 특성상 양태 의미를 유지하는 ‘-더-’와 ‘-ㄹ’이 결합된 ‘-데’와 ‘-ㄹ가’의 경우 두 화계의 구분은 쉽지 않다. 이를 바탕으로 2장에서는 20세기 전반기 텍스트에 나타난 평서형 어미 ‘-네’와 ‘-데’, 의문형 어미 ‘-ㄴ가’와 ‘-ㄹ가’의 사용 양상을 통해 ‘하게’체와 ‘해’체가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살폈으며, 3장에서는 4~50년대 영화 속 대사를 중심으로 Praat 실험을 통해 이 어미들의 억양을 살폈다. 그럼으로써 ‘하게’체와 ‘해’체가 분화되어 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 of transition of final endings from the first 20th century to the contemporary Korean through investigating the realization of semantic functions focused on declarative endings and interrogative endings that have the same form in ‘Hage’ style and ‘Hae’ style. Some of ‘Hage’ style endings are divided into ‘Hae’ style, because their functions are different when they are realized. That is, being classified as ‘Hae’ style endings has not only modal meaning also is combined with ‘-yo’, being realized to ‘Haeyo’ style. In this way, some of ‘Hage’ style forms are divided into ‘Hage’ style and ‘Hae’ style as semantic functions are differentiated and realiz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text. However,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the case of ‘-deo-’ in which modal meaning is maintained due to the nature with the cases of ‘-de’ and ‘-eulga’ combined with ‘-eul’. Based on this, the study investigated how ‘Hage’ style and ‘Hae’ style were realized in texts of the first 20th century through the usage patterns of declarative endings ‘-ne’ and ‘-de’ and interrogative endings ‘-eunga’ and ‘-eulga’ in Chanpter 2, and their intonation patterns were examined by praat experiment with the lines in the movies of 1940s and 1950s in Chapter 3. In doing so, we could identify the aspect in which ‘Hage’ style and ‘Hae’ style are divided.
1. 머리말
2. 의미·기능 변화에 의한 ‘하게’체 어미의 화계 분화
3. 억양에 의한 ‘하게’체 어미와 ‘해’체 어미의 의미·기능 실현 양상
4. 맺음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