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풀어내기
Narrative Accounts of Teacher’s Experience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during COVID-19 Era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 제8권 제3호
- : KCI등재
- 2020.12
- 183 - 201 (19 pages)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학교 현장에서 4월부터 운영된 온라인, 오프라인 교육과정을 실행한 교사의 경험을 통해 위드 코로나19 시대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는 초등학교 1학년 학급 담임교사인 연구자와 동 학년교사 2인이 참여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내러티브 풀어내기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초등학교 1학년 담임 교사들의 경험에서 도출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실행 초기 경험의 의미는 ‘외부에서 제작한 콘텐츠 교육과정’이다. 둘째, 교육과정 실행 중기 경험의 의미는 ‘2% 부족한 콘텐츠 교육과정, 교사들의 변화 야기’이다. 셋째, 교육과정 실행 운영 후기 경험의 의미는 ‘내가 설계하는 교육과정이 온전한 나와 학생들의 교육과정’이다. 즉, 코로나19 상황에서 교사는 유연한 교육과정 설계 능력 함양과 교육과정 중심의 논의 문화를 형성하는 역할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of teachers in the era of With-COVID 19 through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have run online curriculums that have been operated since April at school due to COVID 19. The researcher and two teachers of the same grad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who are the homeroom teachers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Narrative accounts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meanings derived from the experiences of the first grade homeroom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curriculum preparation and early experience is ‘content curriculum developed externally’. Second, the meaning of the mid-term experience of the curriculum is content curriculum lacking 2%, causing changes in teachers . Third, the meaning of the late experience of running the curriculum is ‘the curriculum that I design is the complete curriculum for me and my students’. In the COVID 19 era, teachers are required to cultivate flexible curriculum design ability and to form a curriculum-centered deliberation culture.
Ⅰ. 내러티브 연구를 시작하며
Ⅱ. 내러티브 풀어내기
Ⅲ. 코로나19 상황에서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 이야기 풀어내기
Ⅳ. 내러티브 연구를 마치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