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단양 수양개 유적의 고고지질과 제4기 환경

Geoarcheology and Quaternary Environment of Suyanggae Sites in Danyang County of Korea

  • 74

수양개 구석기 유적 I, III, VI 지구의 형성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유적의 대표 지층 단면을 선정하여 자연과학 분석을 하였다. 대표 토층단면의 지질구성 매체, 입도, 대자율 특성을 우선적으로 파악하고, 니질과 사질 위주의 세립질 지질토층(Geosols)에 대한 C-M 분포 특성 그래프를 이용하여 지층형성 과정을 설명하였다. 연구 결과, 수양개 I 지구 토층에서는 전반적으로 사면기원의 니류작용(mudflow), 하성범람 기원의 부유작용, 그리고 하천 하도에서 유수 에너지에 의해 조약작용(saltation) 이나 견인작용(traction) 형태로 실트와 모래와 잔자갈이 이동하여 퇴적된 특성을 지시하고 있다. 수양개 III 지구 토층에서는 전반적으로 다양한 사면프로세스의 지배를 받았으며, 특히 니류작용(mudflow)으로 인한 분급이 불량한 니질층이 우세한 가운데 하성범람 기원의 부유성 실트질 퇴적층이 약간 협재하는 분포 특성을 보인다. 수양개 VI 지구 토층에서는 사면기원의 니류성(mudflow) 실트와 하성 범람기원의 부유성 사니질물이 윤회층을 이루면서 분포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대표 토층단면(-5D칸)에서 특징적으로 절대고도 127.3 m보다 상부구간에서는 사면기원 니류층과 쇄설층이 우세하나, 이보다 더 하부 토층으로 가면서 사면기원 니류층과 쇄설층은 감소하며, 하성 범람기원에 의한 부유성 니질물이 상부구간에 비하여 더 우세해지는 특성을 보인다. 끝으로 수양개 구석기 유적의 제4기 퇴적층은 최종빙기 초기 아빙기(MIS 4)로부터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수양개 구석기 유물포함층의 형성은 이전 아빙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난했던 아간빙기(MIS 3)를 거치면서 형성되었다. 즉, 이른 시기의 유물포함층은 아간빙기 중기와 말기 동안 대개 44,100~30, 360 yrs BP(비보정) 전 기간 동안 잘 나타나고 있으며, 이들은 후기 구석기 전기~중기 돌날을 중심으로 하는 석기들이 널리 산출되고 있다. 후기 구석기 말기의 석기 유물포함층은 대개 최종빙기 최성기(LGM, MIS 2) 에 속하며, 대개 20,470~17,550 yrs BP(비보정) 기간이며, 후기구석기 말을 대표하는 전형적 좀돌날 석기들이 지속적으로 산출되고 있다.

Geoscientific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the selected representative litho-profiles of three Suyanggae sites (LOC I, LOC III, LOC VI) to illuminate the site-forming processes. The properties of geological marix, grain size, magnetic susceptibility are primarily examined and site-forming process is explained with the help of C-M patterns constructed from the fine-grained sand and silt fractions of the Geosols. As a result it is indicated that in Suyanaggae LOC I site silts, sands and pebbles were transported in general either in the form of mudflow derived from the slope process, suspension of the floodplain, or saltation or traction loads moved in accordance to the flowing regime of the river bottom. From Suyanggae LOC III site sedimentary deposits are characterized that they are generally controlled by the various types of slope process, particularly dominant by the poorly-sorted mud deposits derived from mudflow, which are minorly associated with the intercalations of suspended silt deposits of flooding origin. From Suyanggae LOC III site it is typified by the cyclic sedimentary deposits alternated between slope mudflows and sandy silts transported as suspended loads. Slope mudflows and debris flows are dominant above the 127.3 m (asl) of the representative litho-profile (-5D pit). Below the altitude of 127.3 m (asl) it shows that slope mudflows and debris flows are gradually decreased, but fluvial suspended muds are more dominant than the above part. Lastly Quaternary sedimentary deposits began to form since the stadial (MIS 4) of the last glacial period, but the formation of artefact layers of Suyanaggae sites (LOC I, III, VI) were initiated during the interstadial of last glacial period, when the paleoclimate was relatively milder than the previous stadial. It means that early part of artefact layers belongs to middle or late interstadial, approximately ranged between 44,100yrs BP and 30,360 yrs BP, when blades are widely produced as the major artefactual type of the early to middle upper paleolithic. The late part of artefact layers belongs approximately to the last glacial maximum (LGM, MIS 2), ranging between 20,470 yrs BP and 17,550 yrs BP, when microblades were produced consistently as typical artefacts of late upper paleolithic.

Ⅰ. 서론

Ⅱ. 시료 획득 및 연구 방법

Ⅲ. 자연과학 분석 결과

Ⅳ. 수양개 유적지별 토층 형성과정 논의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