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동아시아 고고학연구를 위한 수양개유적 슴베찌르개의 미세흔적학

Micro-traceology of the Suyanggae Tanged Points for East Asian Archaeological Studies

  • 31

본 논문은 수양개유적 1지구와 6지구에서 출토된 슴베찌르개의 기능에 관한 연구이다. 이번 사용흔분석을 통해 한반도에 처음 도착한 현생인류집단이 슴베찌르개를 사냥도구만이 아닌 ‘다기능도구’로 활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사용흔분석의 구체적인 방법론으로는 저배율법, 중배율법, 고배율법의 세 가지의 방법을 활용하였는데, 이러한 세 종류의 현미경 관찰결과를 함께 관찰하는 것으로 슴베찌르개의 사용패턴을 검토하였다. 슴베는 실제로 장착을 하기 위해 제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합석기의 제작을 통해, 초기현생인류의 이차가공에 대한 인식 변화와 복합적이고 계획적인 도구사용을 엿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한국 구석기시대 도구에 대한 흔적학, 사용흔분석과 같은 방법론의 적용은 동아시아 고고학연구를 위해서도 보다 넓은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aper investigates the function of tanged points excavated from the Suyanggae site locality 1 and 6. It was revealed by use-wear analysis that these tanged points were actually utilized as “multi-functional tools” rather than simple projectile weapons by one of the first arrival groups of Homo sapiens into the Korean Peninsula. Our method of use-wear analysis combines three different techniques, that is, Low-power, Mid-power, and High-power observation. By synthesizing results from three types of microscopic devices, usage patterns of the tanged points were reconstructed. The tang portion of the tool was produced to secure actual hafting.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include new insights into the behavioral meaning of secondary retouch of lithic artifacts, and conceptual recognition of composite tools that requires deep planning depth by early Modern humans.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microwear analysis to Korean prehistory also testifies wider potential of this technique for East Asian archaeological research.

Ⅰ. Introduction

Ⅱ. High power and low power

Ⅲ. Mid-power combined

Ⅳ. Conclusions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