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291.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년여성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에 따른 이야기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the Draw-A-Story(DAS) Test According to the Depression and Resilience of Middle-Aged Women

  • 304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그림검사(Draw-A-Story: DAS)를 통해 중년여성의 우울과 회복탄력성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 및 전남 지역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60세 이하 중년여성 132명이며, 연구 도구로 우울척도, 회복탄력성 척도, DAS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과 DAS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회복탄력성과 DAS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우울이 높은 집단이 낮은집단 보다 부정적인 정서내용과 자기상을 많이 표현하였고, 회복탄력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긍정적 정서내용과 자기상을 많이 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과 회복탄력성 수준에 따른 자극그림을 분석한 결과 자극그림 선택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야기 내용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DAS가 중년여성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서 활용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a DAS test as a projection test to diagnose the level of depression and resilience in middle-aged women. The study subjects were 132 middle-aged women between 40 and 60 years of age, conveniently sampled from located in the Seoul, Gyeonggi, and Jeonnam region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using the depression scale, the resilience scale, and the Draw-A-Story (DAS) tes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correlation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mong the middle-aged women s depression, resilience,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of middle-aged women,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ir resilience,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the depression of the middle-aged participants, the more negative the emotional content was, and the higher the resilience, the more positive the emotional content was. Third, an analysis of stimuli plots based on levels of depression and resilience showed differences in the story.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