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419.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어교육에서 쓰기의 역할과 그 함의

The Roles of Writing in Korean Language As a Second Language

  • 42

그간 한국어교육에서 쓰기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진 적이 없었다. 이는 쓰기의 역할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쓰기의 역할에 대해서 고찰하되 한국어교육과 제2언어 습득의 연구 성과를 이론적인 측면과 연구 방법론적인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한국어교육에서 쓰기에 대한 가치 평가가 소홀한 것은 한국어교육이 구어를 강조하는 서구 학계의 경향을 비판 없이 따른 것이며 이러한 현상은 특별한 주목 없이 은연중에 당연한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이 연구에서는 쓰기가 문식력이 의사소통의 주제가 되는 교실, 즉 학문 목적의 대학 교실과 같은 곳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서 쓰기가 제2언어 습득에서 상당히 중요한 위상을 점하고 있다는 사실을 환기시 켰다. 그리고 한국어교육에서 “어떻게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쓰게 할 것인가?”하는 연구 문제만큼이나 “학습자가 쓰기를 통하여 어떻게 한국어를 학습하는가?”하는 문제도 동일하게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에 더 나아가 언어 변이, 복합 양상과 상호 작용적 접근, 언어 사회화라는 관점에서 쓰기 교육에 대한 한국어교육적 함의를 담아 내고자 하였다.

This paper argues that writing should play a more prominent role in classroom-based studies of korean language a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t contends that an implicit emphasis on spoken language is the result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field of structuralist linguistics, linguistic anthropology, and interactive studies. Although writing as a communicative modality has been marginalized, it is key to understanding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contexts such as korean academic purpose classrooms where literacy plays a central role in communication and transmission of subject matter. In all, the paper argues that while it is important for classroom-based studies to investigate how students learn how to write in a second language, it is equally important to learn how students learn a second language through writing. Implications of this perspective are noted for notions of learner and target language variation, multimodality and language socialization, and interactionist approaches to classroom research

Ⅰ. 서론

Ⅱ. 언어학과 제2언어 습득에서 구어와 문어의 인식 태도

Ⅲ. 한국어수업에서 쓰기의 역할

Ⅳ. 교실 중심의 제2언어 연구에 주는 함의

Ⅴ.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에 주는 함의

Ⅵ.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