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부모가 자각하는 양육효능감이 초기청소년 자녀의 자아탄력성과 학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5-6학년 학부모와 그 자녀 총 274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효능감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학업효능감 척도를 사용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서는 SPSS 1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연구 대상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각 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가 자각한 양육효능감과 자녀의 자아탄력성과 학업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정적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가 지각한 양육효능감과 자녀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자녀의 자아탄력성도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자녀의 학업효능감과의 관계에서 앞에서와 마찬가지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자녀의 학업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how parenting efficacy realized by parents affects early adolescent s ego-resiliency and academic self-efficacy . The study surveyed total 274 of grade 5/6 students and their parents from Gyeonggi using questionnaires with each measure of parents parenting efficacy, ego-resiliency and academic self-efficacy.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8.0, a statistical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the survey target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f factors.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efficacy realized by parents and adolescent s ego-resiliency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re were all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rough the review of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parenting efficacy and adolescent s ego-resiliency, it was revealed that the higher parents parenting efficacy, the higher adolescent s ego-resiliency. Third,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parenting efficacy and adolescent s academic self-efficacy, like the previous case, we found out that the higher parents parenting efficacy, the higher adolescent s academic self-efficacy as well.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aning and the threshold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방법
Ⅲ. 결과
Ⅳ.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