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343.jpg
KCI등재 학술저널

조직공정성, 변화저항, 혁신적 업무행동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 justice, resistance to change,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of government workers: A case study of H publ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 22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 종사자의 조직공정성, 변화저항, 그리고 혁신적 업무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H 공공 인적자원개발기관 종사자 3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01부의 자료가 실제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를 위해서 SPSS 21.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조직공정성 중 분배공정성과 상호관계공정성만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조직공정성은 변화저항에 부(-)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변화저항은 혁신적 업무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조직공정성과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서 변화저항의 매개 효과는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공공기관 종사자의 혁신적 업무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여 조직공정성 확보와 이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공공기관 구성원들의 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innovative work behaviors, resistance to change, and organizational justice perceived by government sector workers. A total of 301 copies of data from 303 H public human development institute workers have been utilized in analysis. The SPSS 21.0 and AMOS 22.0 have been used to analyze the frequency, reliability and correlations, confirmatory factor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study results as follows: First, distributive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were the only factors tha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work behavior of government workers. Second, organizational justice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innovative work behaviors. Third, resistance to change positively affect innovative work behavior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resistance to change does not partially mediate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innovative work behaviors. This study has allowed us to realize that securing organizational justice and management are important in encouraging innovative work behaviors of government workers. This study proposes practical implications on the path towards far more innovative competency of government worker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