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345.jpg
KCI등재 학술저널

제조업 연구개발 직군의 학습목표지향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Learning Goal Orientation’s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s of Manufacturing Industry R&D Employees: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본 연구의 목적은 제조업 연구개발 직군의 학습목표지향성, 업무몰입,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학습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업무몰입이 매개역할을 하는지와 학습목표지향성과 업무몰입 사이를 직무특성이 조절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역량인 개인의 혁신행동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제조업 연구개발 분야의 종사자 320명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제조업 연구개발 직군의 학습목표지향성은 업무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조업 연구개발 직군의 학습목표지향성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역할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몰입은 학습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 사이에서 부분매개하였고, 직무특성 중 기술다양성, 과업정체성, 자율성은 학습목표지향성과 업무몰입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제조업 연구개발 인력의 업무에 대한 몰입과 혁신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learning goal orientation on the innovative behavior for R&D employees at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i of job characteristics. This study carried out the survey of 320 manufacturing industry R&D employees. The major findings of the empirical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learning goal orientation has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work engagement. Second, learning goal orientation has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innovative behavior. Third, work engagement has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Fourth, skill variety, task identity, and autonomy among job characteristics have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work engagement. The study makes a valuable contribution to the R&D employees literature by addressing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