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347.jpg
KCI등재 학술저널

개인적 친밀성을 매개로 한 피그말리온 리더십의 조직성과 영향분석

Analysi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Pygmalion Leadership through Personal Intimacy

이 연구는 중소기업 팀원들이 인식한 팀장의 피그말리온 리더십이 조직성과(조직몰입,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팀장의 개인적 친밀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6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된‘핵심직무능력향상 지원 사업에 의한 훈련과정’을 수강한 298명의 팀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그말리온 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입력’요인이 ‘개인적 친밀성’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장의 피그말리온 리더십 하위요인 중 ‘피드백/영감’과 ‘출력’이 ‘조직몰입’요인에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팀장의 피그말리온 리더십 요인 중 ‘출력’이 ‘직무만족’요인에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팀장의 ‘개인적 친밀성’ 요인이 ‘조직몰입’이나 ‘직무만족’ 요인에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개인적 친밀성’ 요인은 팀장의 피그말리온 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요인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측면과 실천적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the ‘Personal Intimacy’ of the team leader has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team leader’s ‘Pygmalion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SME team members. For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f 298 team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urse of Core Job Improvement Support Project conducted from June to October, 2016.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 factors of Pygmalion leadership, ‘Input’ factor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ersonal Intimacy’ factor. Second, ‘Feedback/Inspiration’ and ‘Output’ among the factors of team leader s Pygmalion leadership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actors ird, It was found that ‘Outpu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mong Pygmalion leadership factors of team leader. Fourth, the ‘Personal Intimacy’ factor of the team leader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Fifth, ‘Personal Intimacy’ factors were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in the effect of team leader s Pygmalion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