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356.jpg
KCI등재 학술저널

국내 직업기초능력 연구동향 분석

The Analysis on Trends in Domestic Research of Key Competency

  • 35

이 연구는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관심이 재조명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에 대해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한 연구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연구동향 분석에 사용된 연구들은, 국회전자도서관 (dl.nanet.go.kr), DBpia(www.dbpia.co.kr), 한국교육학술정보원(www.riss.kr), 한국학술정보(kiss.kstudy.com)를 통해 학술지 게재 논문과 학위논문을 검색하였고, 관련 국책연구기관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www.krivet.re.kr)을 통해 정책연구물을 검색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4월 4일부터 2016년 4월 15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분석대상이 된 연구들은 총 80편이었다. 그리고 총 80편의 연구들을 김진모(2004)가 인적자원개발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개발한 분석틀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분석틀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 첫째, 직업기초능력 관련 연구의 연구대상은 성인과 직업계 고등학생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직업기초능력 관련 학위논문은 2005년 이후에 나타났고, 학술지의 경우 대부분의 연구가 교육학 분야에서 진행되어 왔다. 셋째,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경우 직업기초능력을 진단 및 평가를 위한 도구 개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경우 교수학습을 통해 능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넷째, 직업기초능력의 개념과 관련하여 basic과 core의 개념에 대한 명확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rends on domestic research of key competency. As following this purpose, researches researched in e-national assembly library(dl.nanet.go.kr), DBpia(www.dbpia.co.kr),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www.riss.kr), Korea Information Service System(kiss.kstudy.com) for academic research and Korea Research Unstitute for Vocationsl Education & Training(www.krivet.re.kr) for policy research were used. Data had collected from 04th April 2016 to 15th April 2016, the total number of researches for analysing was 80. Data was analysed with framework based on Kim(2004)’s framework for analysing trends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fields. The major conclusions drawn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and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were higher than others as objects of researches. Second, after 2005 academic research of key competency started, almost of academic researches of key competency were conducted in educational field. Third, researches which’s objects are adults focused on developing tools for diagnosis and assessment of key competency, and researches which’s objects are students focused on solutions for enhancing their competency with instruction. Fourth, concept of key competency has two different types, one is ‘basic’ and the other is ‘cor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