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358.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고용가능성과 경력학습 및 경력동기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Employability, Career related Learning and Career Motivation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이 연구는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고용가능성과 경력학습 및 경력동기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30대 그룹에 속한 18개 제조 계열사 사무직 근로자 650명을 유의표집 하였다. 최종 447명의 응답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학습은 고용가능성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경력학습을 통해 전이 가능한 역량에 집중하면 고용가능성을 높여 조직 내·외부에서 시장 친화적인 경력을 쌓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경력동기는 고용가능성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경력동기가 높은 사람은 경력의 방향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경력에서 현재 수준과 목표 수준과의 차이를 잘 인식하며, 어려운 환경을 잘 극복하여 긍정적인 강화를 통해 고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경력학습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경력동기는 완전매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경력학습 기회가 고용가능성을 향상시켜 성과를 창출할 것이라는 투입→산출이라는 단순한 가치창출 과정이 아니고 투입→과정→산출, 즉 경력학습→경력동기→고용가능성의 관계가 복합적이고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경력학습 과정에서 경력동기가 지속적으로 확장되어야 고용가능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과 조직 모두에게 경력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경력개발 전략을 수립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employability, career related learning and career motivation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The target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all of office workers who were employed in the manufacturing subsidiaries of thirty major corporate groups listed by Fair Trade Commission. With purposive sampling method, 650 office workers were drawn from the population. Among the samples, 447 responses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related learning had a direct effect on employability positively. Second, career motivation had a direct effect on employability. Among the three factors of career motivation, only career identity had no effect on employabilit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related learning and employability was fully mediated by career motivation. From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Career development process was not a simple relationship from the input(career related learning) to output(employability), but complicated relationships from input(career related learning) to process(career motivation) and finally to output(employability). Career motivation was essential in the process from career related learning to employability. So individual must improve career motivation(career identity, career insight and career resilience) and organizations must have intervention tactics for their employee s career motiv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결론, 시사점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