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360.jpg
KCI등재 학술저널

농업계 고등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The Role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tress Copying Strategy in Social Competence among the Agricultural Highschool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계 고교생들의 숙련목표지향성과 수행목표지향성이 사회적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학생들의 사회적 유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농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회적 유능성의 각각의 하위 요인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인구통계적인 변인, 성취목표지향성, 유형별 스트레스 대처방식 정도를 독립변인으로 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숙련목표지향성 정도가 수행목표지향성보다 사회적 유능성 증진에 더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외부에 보여 지는 것에 의미를 가지는 것보다는 자신을 위한 자아 계발의 목표 지향성이 높은 학생이 궁극적으로 사회성 역량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학생들의 사회적 유능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사회적 지지를 통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이었으며, 네 가지 사회적 유능성 역량에 모두 높은 정적 효과를 보여 주었다. 반면에 소망적 사고와 정서지향적 스트레스 대처는 오히려 사회적 유능성 제고에 장애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농업계 고등학생들이 대인관계를 효과적으로 잘 형성하고 사회성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소망적인 사고나 정서완화적 방식을 통한 소극적 대처보다는 보다 다른 사람과 좋은 관계를 형성하여 자신의 어려움 해소를 위해 도움을 받음으로써 스트레스에 대처하고자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on social competence, and to find out which stress coping strategy is associated with social competence among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441 students from 3 agricultural high schools.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Hierarchical Regression.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level of mastery goal orientation had greater positive effects than the level of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on four components of the social consistence. 2) The most useful stress coping strategy among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was social support pursuit, which showed highly positive effects on each of the four components of the social competency. 3) In contra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ssive stress coping strategies, such as wishful thinking stress coping strategy and affection oriented stress coping strateg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ocial competence among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This implied that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is more helpful than passive stress coping strategy, to improve the level of social competence among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