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401.jpg
KCI등재 학술저널

HRD 담당자의 의도적 연습에 대한 인식

HRD practitioners perception on deliberate practice

  • 5

전문성 개발의 효과성 제고는 기업 HRD의 주요 관심사이기 때문에, 전문가가 되기 위해 동일하게 1만 시간을 투자하여도 결국 전문가적 수행을 보이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으로 나뉘게 되며 이는 ‘의도적 연습’의 여부에 달려있다는 연구가 지니는 중요성은 적지 않다. 이에 기업 현장에서 전문성 개발을 직접 수행하는 HRD 담당자들이 의도적 연습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확인하여 기업 현장의 효과성 제고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주관성에 대한 과학적 검증방법인 Q 방법론을 통해 의도적 연습에 대한 기업 HRD 담당자의 인식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징 및 의도적 연습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경력수준’에 따라 인식 유형이 구분되었는데 초급에서 중급 수준은 배워가는 팔로워형, 중급에서 중상급 수준은 문제해결 중심형, 중상급에서 상급 수준은 관심분야 추구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식 유형에 상관없이 모두 실전 경험을 중요하게 여기며, 할 수 있는 수준에서의 반복은 중요하지 않다고 여기는 공통점도 발견되었다. 그러나 의도적 연습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간접적인 질문을 통해 2가지만 확인됨에 따라, 상급 이상의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추가 연구를 진행하여 의도적 연습을 어떻게 바라보고 적용할 것인지에 대해 기업 현장에 시사점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Effectiveness improvement in expertise development interventions tops HRD agenda, so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deliberate practice, the key for dividing people who used same 10,000 hours into two groups; people who show expert performance and who don t. Therefore it is also important to check how the HRD practitioners with expertise development interventions recognize deliberate practice. This research used Q methodology, scientific approach for one s subjectivities, to categorize HRD practitioners recognition on deliberate practice. The goal is to identify categories feature and importance of deliberate practi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Current career level is the key to differentiate categories; learning followers in basic to middle level, problem-solving seekers in middle to upper middle, and interesting field explorers in upper middle to advanced. And all categories valued practical experiences and devalued revision chances in the comfort zone. While importance of deliberate practice were confirmed indirectly through two opposition questions. Hence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deliberate practice and find effective ways to apply into business fields, there are needs for additional studies with advanced experts group.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