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401.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졸 신입사원의 직업적응과 개인 및 조직 특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Work Adjustme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Newcomers

이 연구는 대졸 신입사원의 직업적응 수준과 개인 및 조직 특성의 관계를 구명하는 것이었다. 즉, 대기업 대졸 신입사원의 직업적응 원거리 결과(조직몰입, 직무만족)와 개인 및 조직차원의 직업적응 선행변인(입사 전의 지식, 입사 후에 대한 기대, 선도적 행위, 조직사회화 전략,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의 관계를 구명하고, 그 관계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역할 명확성, 과업 숙달, 사회적 통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근속기간 3년 미만 대기업 대졸 신입사원을 목표모집단으로 설정하고, 20개 대기업 신입사원 400명을 설문하였고, 최종 223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가설은 수집된 자료를 활용한 t검증, F검정, 표준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기업 대졸 신입사원의 직업적응 수준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근속기간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적응 선행변인 중 조직사회화 전략과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입사 후에 대한 기대, 조직사회화 전략,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입사 전의 지식, 선도적 행위,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이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업적응 선행변인 중 선도적 행위는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를 부분 매개하여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각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은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를 매개하여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대졸 신입사원의 직업적응과 관련된 학술적, 실용적 논의와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graduate newcomers’ level of work adjustment,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More exactly, the aim wa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newcomers’ work adjustment distal outcom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antecedent variables of work adjustment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pre-entry knowledge, post-employment expectation, proactivity,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at work) and to fin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adjustment proximal outcomes (task mastery, role clarity and social integration). To undertake this study, university graduate newcomers with a work experience of less than 3 years were set as target population and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0 large corporations, of which 223 were used for analysis. T-test, F-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o difference was found on the level of work adjustment based on gender while it differed based on the years of work experience. Second, among the antecedent variables of work adjustment,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at work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post-employment expectati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at work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Fourth, pre-entry knowledge, proactivity, social support at work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work adjustment proximal outcome. Fifth, work adjustment proximal outcome has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tecedent variables of work adjustment (proactivity, social support at work) and work adjustment distal outcome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Finally, discussion and recommendations were made regarding the job satisfaction of university graduate newcomer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