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401.jpg
KCI등재 학술저널

전문대학 졸업생의 경력경로 유형과 실태

study on Types of Career Patterns of College Graduates in Korea: Focused on 60’s generation

  • 17

이 연구의 목적은 1960년대 세대의 전문대학 졸업자의 경력경로 유형 및 실태를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해 한국노동패널(KLIPS: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의 1차~11차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에 더해 1차 조사에서 측정된 개인의 회고적 직업력을 함께 활용하였다. 그 결과 최종학력이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 졸업자인 480명이 연구의 목표 모집단으로 확정되었으며, 대학 졸업자는 전문대학 졸업자의 비교그룹으로 선정되었다. 자료 분석은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최적일치법 및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문대졸자(남성) 및 대졸자(남성)의 경력경로는 크게 4개, 6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전문대졸자(남성)일수록 정규직의 안정적 유지율이 낮고, 직업변동이 잦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성의 경우 전문대졸자와 대졸자 모두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30대 초반에 결혼, 출산, 육아에 따른 전형적인 경력단절 현상이 발견되었다. 단 전문대졸자(여성)일수록 정규직 진입 후 경력단절 유형의 비중이 크고, 재진입시 낮은 수준의 직업군으로 진입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문대학 졸업자 경력경로 심층분석, 대학 및 전문대학의 교육성과 평가 지표의 재검토, 여성의 경력단절 방지를 위한 사회적 인프라 확충, 산업부문별 경력경로에 대한 심층연구 필요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describe career patterns of college graduates in Korea. The study also intented to reveal differences of career patterns between the university graduates and college’s. The study used longitudinal data from KLIPS(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 total 480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who born in 1960s were analyzed using the optimal matching method and cluster analysis. Their career patterns consisted of three types: maintaining regular worker status, transition from the employed into the self-employed, and the others(late employment in regular job, remaining in inactive-labor, career-seeker, etc). But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shows that career pattern of college graduates is relatively unstable compares to university graduates. For example, the ratio of maintaining regular worker status in college male graduated(41.6%) is lower than of university male graduates(55.5%). Also college graduates have experienced various economic status such as irregular workers. Career patterns of female graduates of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were similar in terms of career interruption during their early 30’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as made some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the better research on colleg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