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메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교사관련변인이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2001년도부터 2014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박사학위논문과 학술논문 51개 가운데 126개의 효과크기 수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교사관련변인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39로 나타나 실험처치를 가한 실험집단의 효과는 증가를 보여 교사관련변인이 학업성취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둘째, 교사관련변인이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 급별에 따른 학업성취 효과는 대학교 학생이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실시교과목에 따라서는 수학과 과학 교과의 평균 효과크기가 다른 교과목에 비하여 큰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논문출처에 따른 교사관련변인의 평균 효과크기는 학위논문이 학술논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교사관련변인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메타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은 평생교육기관의 교육자를 연구대상으로 포함시킬 필요가 있으며, 연구에서 제외된 많은 질적 연구를 포함시켜 양적연구와의 수평적인 통합을 수행하여 교사관련변인의 영향력을 구명하는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in teacher related variables using the meta-analysis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45 master 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 and 6 academic journal, published from 2001 to March 2014 were analyzed and 126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and mean effect siz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teacher related variables selected in this study turned out to be .39. This means that if the average size of effect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ontrolled group is 50percentile in the normal distribution, that of the experimental group becomes 65.17percentile. As it were, the latter surpasses the former by 15.17percentile. Second, Teacher related variables are effective for academic achievement of university school students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Teacher related variables are most effective in mathematic subject but less effective in language subject. And master s theses and academic journal effect size is larger than doctoral dissertation. In this study, teachers related variables for a student s academic achievement at some sort of affect a meta-analysis, presents the results. This study not addressed in the educator of continuing education institutions, as subjects of study needs to be included and excluded from the research by including the large amounts of qualitative research for horizontal integration with quantitative research, all owing teachers arises the need for a follow-up study to discover the need for variabl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