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메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OJT 특성변인인 훈련환경, 업무특성, 학습자의 학습동기, 지도선배의 능력, OJT 설계, OJT 지원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문제는 첫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효과크기 구명, 둘째, OJT 특성요인에 따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효과크기 구명, 셋째, OJT 특성요인과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기업규모, 학습자 학력의 조절효과 크기구명에 있다. 이를 토대로 도출된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OJT 특성요인은 조직몰입에 .563의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에는 .343의 중간정도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둘째, 조직몰입에 대해서는 OJT 지원과 훈련환경이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업무특성, 지도선배의 능력, OJT 설계, OJT 지원이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셋째, 기업 규모의 조절효과 크기를 분석한 결과, 대기업의 경우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 학력이 높아질수록 조직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OJT factors using the meta-analysis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12 master’s thesis, doctoral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were analyzed and 31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is study sets the following questions to be answered. First, how large is the grand mean effect size of independent variable, the effects of primary factors of on-the-job training. Second, how large are the mean effect sizes of each factors of the effects of primary factors of on-the-job training ab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Finally, how large is the moderating effect of company size and education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and mean effect siz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effects of primary factors of on-the-job training turned out to be .563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big effect size) and .343 on job satisfaction (the average effect size); second, OJT support and training environment are big effect siz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ability of mentor, OJT plan and OJT support are big effect size on job satisfaction; third, analyzing to the moderate effect, the effects of primary factors of on-the-job training are relative positively to job satisfaction when the company is a big company. And the education level has low negativ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8)
-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 영역 성과와 과제에 대한 농생명 산업 특성화고 농업교사들의 인식
- 청소년의 직업흥미 유형과 희망전공, 진로결정, 학교만족도의 관계
- 한국농수산대학 장기현장실습 현장교수 역량모델 개발
- 대학생의 리더십 구인 도출 및 진단도구의 개발
- 대기업 종사자가 인식한 핵심가치 실천과 핵심가치교육, 핵심가치 전개활동 및 조직신뢰의 관계
- 고등학교의 사회적 지원과 방해요소, 농업계 교사의 이러닝 효능감과 리터러시가 이러닝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농업인의 교육 참여 실태와 관련 변인
- 국내 기업에서의 OJT 특성요인과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