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Junior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Inventory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있었다.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구성요인 설정, 문항개발,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규준 개발의 네 단계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구인화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2차례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모형을 토대로 개발된 도구를 가지고, 전문대학생 461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총 45개 문항으로 구성된 본조사용 측정도구를 확정하였으며, 전문대학생 21,533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와 AMOS 18.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α계수가 0.9이상으로 나타나 도구가 안정적이고 일관성있는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둘째,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는 교육 지원, 진로 및 취업 지원, 행정 지원, 물리적 환경 지원의 네 차원으로 구분되었으며, 교육과정, 수업, 교수, 진로 프로그램 및 진로상담, 취업 프로그램 및 취업 정보, 학사행정, 직원 및 조교, 교육 시설 및 기자재, 캠퍼스 환경의 9가지 하위영역이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수준을 적절히 측정해 낼 수 있는 표준화된 측정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전국단위의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수준을 파악하고, 대학 현장에서 필요한 대학 경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한 경영전략이 무엇인지 판단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Junior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Inventory. The study was performed in four phase: 1) Domains of the construct establishment; 2) Instrument items development; 3)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4) Norm development. The construct model was revised with the Delphi technique. The final model consisted of four domains, i.e., the educational support, the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the administrative support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support. First, Three sub-domains were identified in the educational support domain: 1) curriculum, 2) teaching, and 3) professor. Second, The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domain consisted of two sub-domains: 1) career program and career counselling and 2) employment program and employment information. Third, The administrative support domain consisted of two sub-domains: 1) academic administration and 2) staff and administrative assistant of the department. Forth, the physical environment domain consisted of two sub-domains : 1) the education facilities and 2) the college campus environment.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ere established via the field test. The pilot test was conducted with 480 junior college students. After conducting the item analysis, the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factor analysis, a set of 45 items were selected for the main test. A total of 23,520 junior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main test of the instrument. For verifying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the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ronbach’s alpha value for the educational support domain, the career & employment support domain, the administrative support domain, the physical environment support domain and the entire instrument was above 0.9 and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established. The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rovided the evidence that college satisfaction of Junior college students consisted 9 factor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4 domain and 9 sub-domain structure of the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college Satisfaction of Junior College Students, which was initially developed in the phase 2.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