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만족 변화유형과 변화 예측변인

Identifying and Predicting Satisfaction of School Trajectories in Vocational High School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만족 변화유형을 구명하고, 변화유형의 차이를 예측하는 변인을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분석은 한국교육고용패널(KEEP)의 2, 3, 4차년도 특성화고 학생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442명의 자료가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및 추리통계를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 0.05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잠재계층분석은 준모수적 집단중심모형을 SAS프로그램의 Proc Traj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예측변인분석은 SPSS 17.0의 다항 로지스틱 분석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만족은 크게 상·중·하위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집단 내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만족의 변화가 미비하였다. 둘째, 변화 양상을 볼 때 모든 집단에서 변화량이 높지 않았다. 셋째, 유형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는 개인특성변인으로는 자아효능감과 전공흥미가 있었다. 넷째, 가정의 경제수준이 하위권과 중·상위권을 구분하는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를 통한 제언으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만족을 높이기 위한 학교 차원의 개입이 필요하다. 둘째, 보다 정확한 조사 대상 선정과 변인을 선정하여 패널데이터보다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different school satisfaction trajectories and to examine predictors of those trajectories in Vocational High School. Data were form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KEEP), a longitudinal study of 442 students followed since 2005. Semi-parametric group based modeling were used for identifying the satisfaction trajectorie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s were used for finding the predictors of those trajecto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of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three trajectories. Second, during three years, the wave of Each trajectories were small. Third, the variable to identify the group was self-efficacy and major interest. Fourth, economic level of family was separated low level and another levels.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suggested: First, the intervention is needed for growth the school satisfaction. Second, it is needed to research that targeted more detailed and recent subjet of stud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