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 농업 기초 기술 과목의 고난도 문항과 매력적인 오답지 평가내용 및 특성 분석 - 학지사ㆍ교보문고 스콜라
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논문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수학능력시험 농업 기초 기술 과목의 고난도 문항과 매력적인 오답지 평가내용 및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Test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Highly Difficult Test Items and the Attractive Distractors within the Techniques in Basic Agricultural Subject of the CSAT

초록

이 연구는 출제 과정에서 고난도 문항 난이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학교 현장에서 교수·학습 개선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정보와 시사점 제공을 위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농업 기초 기술 과목의 고난도 문항과 이들 문항의 매력적인 오답지 평가내용 및 문항풀이 과정상의 주요 특성을 구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5~2013학년도 수능에서 출제된 180문항 중 정답률 40% 미만을 기준으로 고난도 문항 50개, 이들 문항의 오답지 매력도를 기준으로 매력적인 오답지 81개를 선정하였고, 구안된 평가내용, 출제방식, 내용수준, 진위판단 및 내용난도 분석 준거에 따라 양적·질적 분석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같다. 첫째, 내용체계 특성 및 출제 경향으로 고난도 문항의 대부분이 식물 자원 기술 영역과 관련 있는 평가내용이고, 단원 간 통합형 문항도 대부분 이영역에 대한 통합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유형이었다. 둘째, 평가내용상의 특성 및 이에 따른 문항 유형의 차이로 단일 내용요소로만 구성된 오답지와 내용요소가 통합된 오답지의 비율이 비슷하였다. 특히 내용요소가 통합된 오답지 비율이 높았던 것은 합답형 문항의 출제 비중이 높았기 때문이었다. 셋째, 매력적인 오답지 대부분이 교과서에 상술된 교과개념이고, 교과서 밖의 교과개념들은 주로 특정 작물의 생육 특성이나 생리장해 현상, 재배·관리 방법 등 식물자원전공의 심화 학습내용들이었다. 넷째, 작물의 분류, 특정 식량작물, 토양의 산도와 염류, 비료의 종류 등을 제외하면 매력적인 오답지 대부분이 소재 내 정보를 통해 진위판단을 할 수 있는 내용이었다. 이들 오답지 대부분은 단계적 사고와 탐구 과정이 요구되지만 제시문의 결정적 단서를 통해 진위판단을 할 수 있는 내용도 있었다. 다섯째, 매력적인 오답지의 내용난도는 교과개념이 갖는 절대 난도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통합적·단계적 탐구 사고력 함양과 이에 적합한 각종 교수·학습자료 발굴·활용, 교과서상의 내용요소 재구조화 및 교수·학습 과정상의 오개념 형성 원인 분석 등 교수·학습 개선과 평가내용 폭과 깊이 조절을 통한 문항 난이도 조정과 관련된 시사점들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st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highly difficult test items and their attractive distractors within the Techniques in Basic Agricultural Subject of the CSA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50 highly difficult test items with a correct answer rate of less than 40 percent and their 81 attractive distractors were selected from 180 test items in the CSATs from 2005 to 2013. They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ith test content, question form, content level, truth (or falsehood) judgement, and content difficulty as the criteria. The results showed: first,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 organization and question tendency, most of the highly difficult test items involved content from the plant resource technique area. The integrated unit-items also evaluated the integrative thinking ability from the same area. Second,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st content and the differing item types, the ratio of single content distractors wa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integrated content distractors. Particularly, the reason the ratio of integrated content distractors was higher was that test items had a high percentage of combined response variety item types. Third, most of the attractive distractors addressed the well-defined concepts in the textbooks; others addressed advanced concepts of the plant resource course such as growth of plants, physiological disorders, and methods of cultivation and caring. Fourth, except for the classification of plants, certain food crops, acidity and salinity of soils, and the kinds of fertilizers, most of the attractive distractors addressed content in which the truth (or falsehood) could be judged through the information within the item material. They usually required stepwise thinking and inquiry, but often relied on a critical clue within the test item. Fifth, the content difficulty of the attractive distractors was influenced by the absolute difficulty level of the subject concepts. Based on the results, information and suggestions for instructional improvement at agricultural high schools and the adjustment of test item difficulty is provided.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