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충청북도 특성화 고등학교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Relative Efficiency Assessm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s in Chungcheongbuk-Do, South Korea Using Data Envelope Analysis: A Focus on Employment Rates

  • 14

이 연구의 목적은 상대적 효율성이라는 지표를 바탕으로 교육성과로 나타나는 취업률을 중심으로 충청북도에 소재한 특성화 고등학교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취업률 개선등을 포함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학교알리미 사이트와 충청북도청의 인구 통계, 사업체 통계를 활용하였다. 또한, 토빗모형을 이용하여 상대적 효율성의 차이를 학교의 내적요인, 외부요인에 따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청북도에 소재한 특성화 고등학교의 전반적인 효율성 수준이나 학교가 처한 여건 등을 고려해 볼 때, 대다수의 학교는 효율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 그리고, 효율성 값이 1.00으로 나타난 학교도 초효율성 결과를 토대로 학교의 발전을 위해 개선 및 벤치마킹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별 차별화된 취업률 제고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셋째, DEA 분석 결과 비효율적으로 나타난 학교들(효율성 값이 1.00 미만인 학교)은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비효율적인 학교로 하여금 효율적인 학교가 되기 위해 참조할 수 있는 모델, 즉, 준거집단으로 제시된 학교를 벤치마킹하여 효율성을 개선 할 수 있다. 그리고, 비효율적인 학교에서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투입요소를 조정하여 산출요소를 개선할 수 있다. 넷째, Tier 분석에 따라 나타난 단계를 거쳐서 다음 단계로 도달하는 것이 쉽게 효율적인 학교로 갈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학교의 장기발전계획을 수립을 함에 있어 도움을 줄 수 있는 컨설팅 등을 정부 및 교육청 차원에서 지원해 주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ve efficiency of vocational high schools in Chungcheongbuk-Do, South Korea, which focused on employment rates as a result of educational outcomes, and to present suggestions for the employment rates. Employment rates, population, and business statistics were analyzed through the data envelope analysis(DEA). The Tobit model was also introduc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relative efficiency based on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the school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level of overall efficiency and individual circumstances of the schools, various efforts to improve the efficiency are required for most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s in Chungcheong-Do. It is required even for the schools with 1.00 efficiency index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to benchmark other school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per efficiency. Secondly, a distinguished strategy for improving the employment rate should be established for each vocational high school. Thirdly, inefficient schools with less than 1.00 efficiency index need to make an effort to improve the efficiency. Those schools can improve their own efficiencies by benchmarking the schools in the criteria group. Inefficient schools can improve the output elements by adjusting the input elements at first, which should be improved. Fourthly, an easy way to reach an efficient school is to follow the results of the Tier analysis. The government and local education authorities should provide consulting services, which can help each school establish a long-term developmental pla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