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비판적 성찰 업무 행동과의사결정 참여,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 자기효능감 및 변화 준비성의 인과적 관계

A Causal Relationship among Critical Reflective Work Behavior,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Leader-Member Exchange, Self-Efficacy, and Readiness for Change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비판적 성찰 업무 행동과 의사결정 참여,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 자기효능감 및 변화 준비성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 500명을 표본으로 하여 354개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7.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되었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비판적 성찰 업무 행동과 의사결정 참여,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자기효능감 및 변화 준비성의 인과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 간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의사결정 참여, 자기효능감, 변화 준비성은 비판적 성찰 업무 행동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는 비판적 성찰 업무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사결정 참여는 비판적 성찰 업무 행동에 대해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 자기 효능감, 변화 준비성을 매개로 간접효과를 가졌다. 넷째,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는 비판적 성찰 업무 행동에 대해 자기효능감과 변화 준비성을 매개로 간접효과를 가졌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은 비판적 성찰 업무 행동에 대해 변화 준비성을 매개로 간접효과를 가졌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현장의 실무자들에게 비판적 성찰 업무 행동의 매커니즘을 이해하도록 도우며,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들의 비판적 성찰 업무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인적자원개발 영역의 개입이 무엇인지 판단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함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among critical reflective work behavior,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leader-member exchange, self-efficacy and readiness for change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by mail, e-mail and visiting. A total of 379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from 36 corporation, of which 354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To estimate parameters of proposed research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used.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18.0-Win statistics packages and AMOS 7.0 version. An alpha level of 5% was established prior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t index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mong critical reflective work behavior,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leader-member exchange, self-efficacy and readiness for change were identified suitably. Second,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readiness for chang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direct effect on critical reflective work behavior. Third,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had a significantly indirect effect on critical reflective work behavior through leader-member exchange, self-efficacy and readiness for change. Forth, leader-member exchange had a significantly indirect effect on critical reflective work behavior through self-efficacy and readiness for change. Fifth,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ly indirect effect on critical reflective work behavior thorough readiness for chang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