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산업체 산학협력담당자의 특성화고등학교와의 산학협력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산업체 파견 현장실습 운영, 산학협력교육의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는 것이다. 조사의 결과, 산업체가 특성화고와 산학협력교육을 하는 주된 목적은 신규 인력의 양성 및 확보를 위해서이며, 산학협력교육의 대표적인 3가지 형태인 산업체 파견 현장실습, 인턴십, 산업체견학 중에서 산업체 파견 현장실습이 학생의 직무능력 향상과 기업의 인력 확보 차원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산업체 파견 현장실습은 우수 인력의 사전 확보 및 인력 충원의 용이성 때문에 선호되고, 현장실습생들은 실습기간 중에 주로 전공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실습생의 기본 인성과 일에 대한 긍정적이고 진지한 태도는 높게 평가한 반면, 조직 이해와 적응, 업무수행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은 낮게 평가하였다. 또한 산업체 산학협력담당자들은 현장실습이 3학년 2학기에 3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현장실습 종료 후에 실습생 채용 의사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성공적인 산학협력교육을 위한 참여 산업체에 대한 정부 차원의 인센티브 미흡, 국가수준의 현장실습 지원을 위한 구심체 부재, 우수 산업체와 특성화고간의 연계 지원 부족 등의 문제를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중앙부처, 시․도교육청 및 단위학교, 그리고 산업체 차원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특성화고의 산학협력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과학기술부, 고용노동부, 중소기업청, 지식경제부 등 유관 부처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시․도 교육청은 특성화고의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관리․감독 권한을 가지고 있어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의 질 관리 차원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산업체는 현장실습이 실제 이루어지는 장소이므로 현장실습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기업의 적극적 동참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기업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지원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porate personnel staff s perception of cooperative education between firms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So, questionnaire was developed, including the effect of cooperative education program, operation status of field practice, and problems and needs of cooperative education. Several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purpose of cooperative education was to develop and procure new skilled craftsman by operating field practice among typical three types of cooperative education; field practice, internship and field trip. Second, this field practice was preferred due to securing an outstanding workforce and easing of reinforcement, and these trainees performed the tasks related of a field of study. Third, their basic personality and positive and serious attitude towards job was rated high, but understanding and adaptation to the firm and specific knowledge and skills needed for performing was rated low. Fourth, these staff think that it is desirable for field practice to be operated for more than three months through the second semester of third grade, and to employ the trainees selectively after completion. Fifth, it is necessary that governmental incentives for participating firms, cooperative education supporting system of central government, and support to cooperation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firms ara necessary.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irst, For invigoration of cooperative education, it is necessary for active participation and support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and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etc. Second, Each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has the authority to manage and supervise the operation of field practice program, so it has to take an important role of managing the quality of the program. Third, because firms is the place of field practice, active participation to field practice of firms is very important factor to hopeful performance of field practice and national supporting policy must be prepared to induce firms to cooperative education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