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Factors Affecting the Educational Gaps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도농간 교육격차의 영향 요인

  • 4

이 연구의 목적은 도농간 교육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는 데 있었다. 분석 자료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공하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조사의 4차년도 패널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for Window 17.0 프로그램과 HLM 6.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 학생 간의 학업 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도농간 교육격차가 존재한다는 것이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교육격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생 수준에서 학습동기, 교육포부, 학습효능감, 미래의 꿈 설정, 사교육 도움정도 및 가정 경제력이었으며, 학교 수준에서는 방과후 학교, 물리적 환경, 심리적 환경, 교사의 실력, 학교 소재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격차에 미치는 영향력은 학생 개인 특성 변인과 가정 특성 변인이 학교 수준 변인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농간 교육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수준의 요인을 실증적으로 구명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도농간 교육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농촌 지역의 부족한 교육기회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도농간 교육격차에 대한 지속적인 추적 관리를 위한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educational gap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Data from the fourth wave of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collected by KRIVET were analyzed.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for Window 17.0 and HLM 6.0 for Window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ural and urban students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which verifies the existence of educational gap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Second,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educational gap were proven to include learning motivation, educational aspiration, learning efficacy, future aspiration, aid of private education, and the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at the student level and after-school activities,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teacher s competence, and the location of the school at the school level. Third, a student s individual and family features have greater influence than school-level factors on the educational gap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Based on these results, some recommendations were made: First, additional studies will be needed to identify empirically the factors at both the student and school level affecting the educational gaps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the assurance of rural students of the equal opportunity for education. Third, a system for continuos follow-up on educational gap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should be established.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Framework

Ⅲ. Research Method

Ⅳ. Research Result

Ⅴ.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