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농업토목기술 I 및 농업기계 과목의 이러닝 콘텐츠 학습효과 분석 및 활용 방안

Analysis of Learning Achievement in e-Learning and Face to Face Lectures to Agricultural Civil Engineering TechnologyⅠ and Agricultural Machinery Class

이 연구는 농생명산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에서 농업 교과목 이러닝을 활성화시키고 보급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2개의 농생명산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를 선정하여, 농업 전공 학생 81명을 대상으로 동영상 기반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효과가 발생하는지 검증하였다. 이질(실험/통제)집단 전후 검사설계 (Non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Nonequivalent Control-Group Design) 방법을 도입하여 t검증과 일원공분산분석을 하였다. 실험결과를 종합해보면, 농업토목기술 I 교과목은 사전-사후 t검증과 일원공분산분석 결과에서 두가지 학습방법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농업기계 교과목은 사전-사후 t검증과 일원공분산분석 결과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은 원인은 현장연구를 진행한 고등학교의 인프라 환경이 다른 여타 학교보다 제한적으로 사용이 되었으며, 실제 테스트 운영기간 동안 발생하지 않았던 하드웨어적 장애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발생의 주 원인으로 LMS와 네트워크상에서 이러닝 콘텐츠 초기 접속 시 버퍼링 지연, 재생 중의 끊김 현상 등 학습자의 주의 집중을 분산시키는 요소와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 진행 시 발생된 페이지 전환 지연 등 진행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학교현장 특히 거주지역이 대도시에서 멀어질수록 이러닝 코스웨어를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 및 환경 분석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인프라와 같은 환경의 안정적 지원이 학교교육에서 이러닝 학습효과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로 의의가 있다.

Nowadays the fact that e-learning has enough effect compare with face-to-face class is requiring to be proved. Thus this study wanted to figure out the way to invigorate and supply e-learning to the vocational high school agricultural classes. So researchers selected vocational high school agricultural and chose 81 agricultural major students, then verified the effect of e-learning contents. This study used Non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Nonequivalent Control-Group Design. A t-test and one-way ANCOVA was implemented as statistical method. To summarize the result, there are significance differences between e-learning and face-to-face class in agricultural civil engineering technologyⅠ class. However,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e-learning and face-to-face class in agricultural machinery class by result of t-test and one-way ANCOVA. Main reason for absence of difference was adjudged with follow: Learner’s dispersion of focus cased by e-learning contents access and play error on, both of LMS and network, when the day of experiment. This fact presents importance of atmospheric stabilized support such as computer based management system and infra network, also with qualified contents development, when develop e-learning courses ware and apply it to actual teaching. Research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about e-learning is valuable as basic material for instructor, learner itself and authorities of school and department managers who responded to activate and diffuse i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및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