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농업교사의 대학수학능력시험 문항개발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The Case Study on Developing the Items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f Agricultural Teacher

  • 2

이 연구는 농업교사의 평가 전문성 영역 중 사고력 중심의 수능형 문항에 대한 출제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문항개발과정에서 문항초안이 어떤 변천과정을 거쳐 최종 문항으로 완성되었으며, 배제되거나 탈락된 문항들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구명하여, 실제로 문항을 개발하는 장면에서 농업교사가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문항제작기법과 관련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의 수능 문항 출제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에서 수능 농업계열 선택과목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던 농업교사들의 문항개발과정을 참여 관찰하고, 이 과정에서 제기되었던 검토의견들을 질적 분석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초안이 최종 문항으로 완성되는 과정에서 최초 의도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형태로 탈바꿈되는 사례들이 많았으며, 그 주된 이유는 평가내용의 타당성 문제도 있었지만 주로 수능형 문항을 구성하는 요소 중 문제상황으로 설정된 제시문 때문이었다. 이에 따라 이들 문항 대부분은 문항개발과정에서 제시문 내용이 수정․보완되거나 제시문 자체가 대체되는 등 문제상황이 변경되었다. 둘째, 완성되지 못하고 배제되거나 탈락된 문항들은 주로 평가내용의 타당성과 객관성 결여, 출제의도에 적합하지 못한 문제상황, 문제상황과 답지에 대한 다의적 해석 가능성, 단편적 암기능력 측정과 문제상황의 탐구성 결여에 따른 수능형 문항으로의 발전 한계 등 때문이었으며, 이들대부분은 논란의 소지와 정답시비 문제가 내재된 문항들이었다. 셋째, 수능처럼 고차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객관식 선다형 문항 출제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체계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이에 근거한 교과내용 전반에 대한 전문성 향상이 전제되어야 하며, 다양한 문항소재를 출제의도에 적합하면서 탐구요소가 내포된 제시문으로, 즉 문제상황으로 재구성하는 능력을 함양시킬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농업교사의 출제 전문성 향상과 관련하여 집중적 공동 작업을 통해 스스로 문항을 개발해 볼 수 있는 실제적 기회 제공의 필요성과 이를 위한 몇 가지 실천적 방안을 중심으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positive data on the method of developing item for agricultural teacher’s practical use. This research acquired the information by figuring out which type of process made final items and pondering the cause of characters of excluded, or eliminated items in the item developing process for improving the specialty of developing test items especially focus on the thinking ability among the evaluation area of expertise of agricultural teacher. To do this, the research took participant observation on item development process for agricultura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n agricultural elective course. This course is set for improving the specialty of developing CSAT items which was authoriz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research analyzed qualitatively the comments which were raised during the proces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there were many cases that some drafts of item were changed into new type of test items that were never intended on becoming final items. The main reason for this is not only the problem of validity of evaluation, but also the problematic sentences that were suggested in CSAT items. For this reason, most of items were changed which involved contents revision or replacement of whole sentences in the process of the item development. Second, you can find uncompleted items, excluded, or eliminated items and it’s because of the development limitation of CSAT items. These were caused by the lack of validity and objectivity, a situation which is not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est. The possibility of polysemous interpretation, fragmentary memory ability, and the lack of researching on the situation is also an observation that was made. Third, to improve the specialty of deveploping objective multiple-choice type item that can measure the high level thinking skill as CSAT, it should be pre-required that the improvement of specialty on developing items in the course follows a system of issuing the right type of items. Teachers need to cultivate this ability to reconstitute as suggested situation which is not only suitable for the contents of a question (something like asking the various question materials), but also involve research element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providing actual opportunity to develop items themselves through concentrated collaboration and several practical measures to achieve this in connection with improving the specialty of agricultural teacher’s developing item skill.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