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개념 지도를 활용한 인적자원개발에서의 정의와 철학적 토대

Justice in HRD using Concept Map and Implications for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HRD

이 연구는 인적자원개발 윤리를 중심으로 하는 현재의 인적자원개발의 철학적 토대 논의의 한계에 대한 문제의식 아래 착수되었다. 인적자원개발 윤리는 응용 윤리로서 인적자원개발 실행가 개인이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 차원에 한정되어 있다. 인적자원개발 윤리에 대한 대안적 접근, 개념 형성을 통한 인적자원개발 이론화에 대한 기여, 인적자원개발 이론 정립에서의 연구 방법의 다양성 추구, 법철학을 넘어선 사회적 담론으로서 정의에 대한 인적자원개발의 대응 등은 인적자원개발에서의 정의 논의의 필요성을 정당화한다. 이 연구에서는 인적자원개발의 철학적 토대의 주요한 주제로서 정의를 논의하기 위해 인적자원개발에서의 정의에 대한 개념 지도를 도출하였다. 인적자원개발 정의 논의를 위한 정의 이론의 흐름은 공리주의 정의론, 자유지상주의 정의론, 자유주의적 평등주의 정의론, 그리고 공동체주의 정의론으로 정리되었다. 네 가지 정의 이론의 흐름은 인적자원개발 맥락에서 조직 성과 극대화, 개인 대 조직의 관계, 비판적 인적자원개발에서의 사회적 형평성, 인적자원개발에서의 가치지향성으로 연결됨으로써 인적자원개발 정의 개념을 구성하는 내용적 측면에 해당된다. 그리고 정의 개념의 세 가지 차원인 내용, 대상, 기준을 형식적 측면으로 연결함으로써 인적자원개발 정의의 개념 지도를 제시하였다. 인적자원개발 실제에 대한 지속적인 가능성을 모색하는 철학적 토대로서 인적자원개발 정의 개념은 규범과 당위적 방향성을 갖춘 분배로서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향후에는 인적자원개발 실제의 영역에서 담당자들의 정의 개념에 대한 인식 유형을 분석하는 연구가 요구되며 이를 통해 인적자원개발의 철학적 토대로서 정의 논의가 응용학문 영역에 속하는 인적자원개발 분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justice in the contex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HRD) in that the current state of philosophical foundation of HRD has not been proliferated within its field. Most of HRD ethics literatures are limited on HRD practitioners as individuals and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that basically its nature lies in applied ethics. Necessities to discuss the justice concept in HRD were justified by searching alternatives on mainstream HRD ethics, contributing to HRD theory building through concept development, diversifying HRD research methodologies, and the response to emerging social discourse of justice in this countr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justice in HRD concept map was derived from the conceptualization of justice as the key theme of philosophical foundation of HRD. The streams of justice theories were selected as utilitarianism, libertarianism, liberal egalitarianism, and communitarianism. Each strand was matched for the maximization of performance in organization, individual-organization relations, social equity discourse in critical HRD, and value priorities in HRD. As a result, these are contents aspect of concept map in HRD justice. In addition to this, what-who(m)-how framed the formality of concept map in HRD justice. The justice concept in HRD using concept map enables HRD activities as the distribution with norms and appropriateness. Justice in HRD a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is aligned to continuous yearning for possibilities of HRD as a field of practice. Finally, this study suggest there need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n justice concept of HRD practitioners among themes represented with justice in HRD concept map. Considering the nature of HRD as an applied field, justice can contribute to build up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HR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