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학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등록유인가;자기효능감;목표지향성 및 학업성패 귀인성향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Enrollment Valence;Self-efficacy;Goal Orientation;Attribution for Academic Success and Failure of Learners in Bachelor s Degree Courses at Junior Colleges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제42권 제4호
- : KCI등재
- 2010.12
- 1 - 23 (23 pages)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전문대학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이하 전공심화과정)에 등록한 학습자들의 학습동기와 등록 유인가;자기효능감;목표지향성 및 학업성패 귀인성향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2010년 3월 현재 전공심화과정에 등록한 모든 학습자 7,058명이며;자료 수집을 위한 조사도구로는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 수집은 4월 25일부터 5월 30일까지 우편 및 방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총 631부의 질문지가 배포되었고 이 중 385부가 회수되었으며;최종적으로 총 370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평균;표준편차;빈도;백분율 등의 기술통계와 t검정;F검정;단순상관분석;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연구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전공심화과정 학습자는 보통 수준의 학습동기를 가지고 있으며;10명 중 2명은 비교적 낮은 학습동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성별;연령;계열;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인식 정도에 따라 학습동기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전공심화과정 학습자의 등록 유인가;자기효능감;목표지향성;학업성패 귀인성향 특성은 학습동기 향상 및 제고의 측면에서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전공심화과정 학습자의 학습동기는 자기 스스로의 능력을 높게 인식할수록;전공심화과정에 대한 등록 유인가를 높게 인식할 수 있도록;수행보다는 학습자체에 초점을 둘수록 높아지는 반면;타인과 자신의 학습 성과나 수행 비교를 통해 뒤떨어지는 것을 모면하려는 성향이 강할수록 학습동기가 낮아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enrollment valence;self-efficacy;goal orientation;and attribution for academic success and failure of learners in bachelor s degree course at junior college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7,058 learners of bachelor s degree course at junior colleges. The sampling was performed by department;considering ratio of major field of study.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measure variables of this study. It was consisted of learning motivation scale;enrollment valence scale;self-efficacy scale;goal orientation scale;attribution for academic success and failure scale;and demographic items. The scales were selected from exiting scale by the researcher. Through pilot test and final survey;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se scales were examined.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earners learning motivation were the average. Learners were not motivated in the proportion of ten to two. And statistical differences in gender;age;group of major;and perceived level to adapt to the college were identified. Second;their characteristics on enrollment valence;self-efficacy;goal orientation;and attribution for academic success and failure were positive in aspect of learning motivation. Third;enrollment valence;self-efficacy;mastery goal orientation;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are major variables which have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Forth;if learner perceives more enrollment valence on bachelor s degree course at junior colleges;and one s ability and focus learning itself;level of learning motivation will be high. The other hand;Learning motivation will be low if learner has tendency to avoid poor performance than other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