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기업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전문성 인증을 위한 국가 자격 종목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for Qualifying the Expertise Leve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affs in Corporations

  • 13

본 연구는 기업 내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전문성 인증을 위한 국가 수준의 자격 종목 개발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외국의 유사 자격제도 비교 분석 결과와 국내 국가자격제도 설계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국가 수준의 인적자원개발 전문가 자격 종목 개발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조직원의 학습역량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인적자원개발 담당자들의 체계적인 전문성 개발을 위해 국가 수준의 자격제도 도입이 필요하다는 논의는 학계와 현장에서 활발히 제기되고 있다. 외국 자격제도의 비교 분석 및 설문조사 결과와 자격제도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학위자격과 직업자격이 연계된 형태의 국가수준의 기업 내 인적자원개발 전문가 자격제도의 검정과목, 검정방법, 자격제체 운영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자격제도의 도입과 실효성 있는 운영을 위해서는 관련 법령의 정비, 주기적인 전문가 직무분석, 인프라 구축 및 국제 통용성 확보등이 함께 추진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for qualifying expertis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staffs in companies and to recommend new qualification system for HRD staffs based on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cases in other countries, a survey of HRD practitioners, and discussions among HRD experts. In fostering employees learning capacity and competencie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the role of HRD specialists is crucial. According to the survey of 126 HRD practitioners, 65% of respondents expressed the needs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Main reasons for having such system include to improve expertise of HRD practitioners, to evaluate performance of HRD practitioners, to ensure reliability and accreditation, and to support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 This study proposed a dual system of academic and vocational qualification with suggested curricular(required courses), qualification examination subjects, and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qualification system. For the actual introduction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qualification system, revisions of related laws, regular job analysis for HRD staffs,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and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the qualification should be examined in depth.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