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경기도 농촌지도사업의 여건 분석과 경기도 농촌지도사업의 기능 및 역할, 사업 수행 프로세스, 사업 수행체제에 대한 진단을 통하여 경기도 농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기도 농촌지도사업의 종합적인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 내외부 농업환경, 정책, 기능 및 역할, 사업 수행 프로세스, 사업 수행 체제를 근간으로 하는 진단모형을 설정하고, 문헌고찰, 인터뷰, 설문조사를 통하여 체계적인 진단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경기도 농촌지도사업은 백화점식 사업 수행, 공급자 중심의 과정, 부실한 조직 등의 문제로 인하여 낮은 수준의 효과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경기도 농촌지도사업의 발전 방향을 1) 경기도에 적합한 지역특화전략사업 중심의 기능과 역할 수행, 2)고객 중심의 전략적 농촌지도사업 프로세스 구축, 3)경기도 농촌지도사업에 부합하고 농업환경 변화에 유연한 수행 체제의 구축으로 설정하였다. 셋째, 각각의 방향에 따른 구체적인 13개의 전략과제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경기도 농촌지도사업 발전방안의 실행력 제고를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improvement plans of GyeongGi-Do s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through the circumstance analysis o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and the diagnosis of functions and roles, processes, and systems o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in GyeongGi-Do.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after setting up a diagnostic model in which agricultural environments, policies, functions and roles, business processes, and business systems o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in GyeongGi-Do were contained, we made a systematic diagnosis using literature review, face-to-face and written interviews, and surveys.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in GyeongGi-Do showed a low level of effectiveness owing to problems such as many kinds of loose businesses, supplier-oriented processes, incomplete organizations, and so on. Second,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o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in GyeongGi-Do for solving these problem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① the execution of functions and roles focused on the regionally specialized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② the establishment of processes of strategic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focused on the customer, and ③ the establishment of systems fitted to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in GyeongGi-Do and adaptable to environmental changes in agriculture. Third, thirteen specific strategic task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each direction. Finally, some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power of execution of these directions and strategic tasks were sugges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