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실직자들의 전환학습 수준을 측정하고, 실직자의 전환학습과 관련된 변인들과 그들의 설명력을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직업에 종사하다가 그만둔 사람 가운데 정년퇴직을 제외한 모든 성인 실직자들이며, 접근의 어려움으로 전직실업자훈련프로그램 가운데 조사시점의 719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실직자를 목표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표집은 군집표집방법을 사용하여 34개 전직실업자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하는 630명의 실직자를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우편조사와 방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최종분석에서는 체크가 불량한 67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410부가 활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 및 추리통계를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 0.05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직자들의 전환학습 과정은 자기성찰(2단계), 대안탐구(5단계), 새로운 행동 계획(6단계)이 상대적으로 높게 이루어지며, 실직자들의 전환학습 수준은 이론적 평균(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다. 둘째, 실직자들의 전환학습은 경쟁력과 자신감 구축(9단계)과 높은 상관을 보이며, 의미관점별 비판적 반성(3단계), 전환과정의 공유(4단계), 새로운 행동 계획(6단계), 지식과 기술의 습득(7단계)과는 중간정도의 상관을 보인다. 셋째, 실직자들의 전환학습에 대한 관련변인들의 설명력은 52.1%이며, 각 변인별 영향력의 중요도는 경쟁력과 자신감 구축(9단계)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전환 과정의 공유(4단계), 의미관점별 비판적 반성(3단계), 배우자의 경제력, 실직당시 직업능력의 순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s of transformative learning(TL) and to identify related variables, which were germane to job losers.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adult job losers excluding someone who retired due to the age limit. Because the exact number of job losers in Korea could not be identified, this study was restricted to the target population of the job losers participated in 719 re-employment training programs at the period of the survey. A sample of 630 job losers in 34 re-employment training programs was selected from the target population by using of one stage cluster sampling.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ail survey and on-site interview. Finally, the data from 410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after exploring that all respondents answered the survey instrument honestly.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introduced for the data analysis. In each statistical analysis, a p-value of .05 was considered to indicat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major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transformative learning process(TLP) of job losers were high in step 2) self-examination, step 5) exploration of options, and step 6) planning of a course of action. Overall level of TL of job losers was a little above the theoretical mean. Second, higher level of correlation was identified between TL and TLP step 9) and medium level of correlations were identified among TL and TLP step 3), 4), 6) and 7). Third, the associated variables explained 52.1% of TL of job losers. TLP step 9) building of competence and self-confidence explained the most of the TL, and step 4) recognition of the transformation process, step 3) critical reflection of meaning perspectives, economic status of the spouse, and occupational competency at the period of job loss were next four important variables which explained last proportion of the TL.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