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인의 학습 조직 참여 실태를 분석하는데 있었다. 연구를 통해 구체적으로 조사한 내용은 농업인은 어떤 유형의 학습 조직에 얼마나 참여하고 있고, 학습 조직을 통해 어떤 학습 활동을 얼마나 하고 있고, 농업인의 학습 조직 참여를 방해하는 요인은 무엇이며, 학습 조직은 어떤 농업인에게 효과적인가 등이었다. 이를 위해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관측센터 표본 농가 중 70세 미만 쌀, 과수, 채소, 축산 농가 48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습 조직은 교육훈련 보다 농업인의 참여가 더 활발한 학습 방식이다. 둘째, 농업인 학습 조직 중 품목 연구회와 작목반이 가장 활성화되어 있다. 셋째, 농업인 학습 조직을 통해 이루어지는 주된 학습 활동은 자체 세미나이고, 주된 학습 내용은 생산 등과 관련한 기술 내용이다. 넷째, 농업인의 학습 조직 참여는 시간 부족, 자신감 부족, 관련 정보 부족 등에 의해 장애를 받고 있다. 다섯째, 학습 조직은 농업인에게 매우 효과적인 학습 방식이지만, 쌀이나 축산 농가 보다는 과수나 채소 농가에게, 학습 참여 빈도가 더 활발한 농가에게, 타인 권유가 아닌 자발적 의지에 의해 참여하는 농가에게, 소요 비용에 대한 자비 부담 의지가 있는 농가에게, 학습 조직을 통해 얻으려는 목표가 뚜렷한 농가에게 더 효과적인 학습 방식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asic current status of farmers participation in learning organization in Korea.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how many farmers participate in learning organization?, which type of learning organization is preferred by farmers?, what learning activities happen how happens?, what interferes farmers participation in learning organization, and to which type of farmers is learning organization more effective? For the purpose, the study carried out a survey on 485 farmers under 70 years old. As results, this study concluded that ① farmers are participating in learning organization more frequently than education and training as a learning opportunity, ② commodity study group(pummok yunguhwoi) and commodity units (jakmokban) are more popular and active learning organization than any other type, ③ discussion between members is the main learning activities, ④ production related skills are the main learning contents, ⑤ the main barriers of learning organization participation are shortage of time, insufficient self-confidence and lack of related information, and ⑥ learning organization is more effective to farmers who produce fruit or vegetable rather than meat or rice; to farmers who are more frequently participating in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ies; to farmers who are participating by free will rather than persuasion or induction; to farmers who are willing to pay for the activities; farmers who have goal orientation rather than activity orientation as participating motiv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