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도시 지역 거주 고령자의 경로당 프로그램 이용 실태 및 활용 전망
Status and Prospect of the Elderly Liv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Using the Senior Citizens’ Center
- 박다솔(Park, Da Sol) 신가인(Shin, Ga-In) 우예신(Woo, Ye Shin) 이혜식(Lee, Hey Sig) 박혜연(Park, Hae Yean)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재활치료과학
- 재활치료과학 제10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2
- 95 - 104 (10 pages)
목적 : 본 연구는 중소도시 지역 특성에 맞는 경로당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국내 경로당 프로그램의 현황과 경로당 프로그램의 이용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2019년 7월에서 9월까지 전국 5개 지역(경기, 경상, 충청, 전라, 강원)의 읍, 면, 리에 개설된 소규모의 경로당을 연구자가 방문하여 대인면접 설문조사 형태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과 : 경로당 이용자가 경로당을 이용하는 주요 이유는 ‘친구들이 있어서’이며 55.0%의 이용자가 일주일에 4-5회 경로당을 이용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용자들의 45.9%가 경로당 이용에 만족하고 있으며, 경로당 활성화 방안으로 20.2%의 응답자가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경로당 비이용자의 43.5%가 ‘마땅히 즐길만한 활동이 없어서’경로당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으며 경로당 활성화 방안으로 46.5%의 응답자가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경로당 이용자와 비이용자 모두 선호하는 프로그램은 운동, 취미와 오락, 건강 프로그램 순이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국내 중소도시 지역 거주 노인들의 경로당 이용 여부, 이용 목적, 프로그램 만족도, 프로그램 개선점과 제한점 등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경로당 프로그램의 제한점을 파악하고 추후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경로당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In this study, we wanted to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senior center programs to collect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enter programs for small and medium cities. Methods : To collect data, the researchers visited small and medium cities (Gyeonggi, Gyeongsang, Chungcheong, Jeolla and Gangwon) between July and September 2019 and conducted interpersonal surveys. The study involved 183 people. Results : The users mainly used senior centers‘because they of their friends’ 55% indicated that they used centers four to five times a week. 45.9% were satisfied with their center, and 20.2% indicated that‘various programs’were needed to make the centers attractive. Of the non-users, 43.5% indicated that they did not use the centers for their lack of‘enjoyable’activities, and 46.5% indicated that‘various programs’should be developed to make the centers attractive. Programs favored by both users and non-users included exercise, hobbies and entertainment and health programs. Conclusion : The study show that the general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senior centers by senior citizens liv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Korea include the purpose of us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d improvement points and limitations. Accordingly,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center programs will be identified, and the findings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program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