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기업 e-Learning 프로그램 참여자가 인식하는 교수설계수준과 학습전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al Design as Perceived by Participants in Corporate e-Learning Programs and Perceived Learning Transfer

이 연구는 e-Learning에서 기업체 근로자들의 학습전이와 관계가 있는 기업 e-Learning 프로그램의 설계변인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이 변인들의 설명력을 파악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e-Learning을 실시하고 있는 기업에 재직 중인 근로자 중 최소 2~6개월 전에 사내 e-Learning을 경험한 근로자들이며 판단 표집(judgemental sampling)에 따라 e-Learning 전문가와 기업교육전문가의 추천을 받아 사내에서 e-Learning을 실시하고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10개의 대기업 근로자를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6년 4월 27일부터 5월 30일까지 우편조사와 방문조사, e-mail 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는데, 총 500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최종분석에는 206부의 설문지가 활용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었던 변인 중 직무경험년수와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학습전이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e-Learning 유형에 따른 예측변인들은 정보획득유형의 경우, 도입과 학습지원 변인이었고, 반응강화유형의 경우에는, 학습객체와 학습지원 변인이었으며, 지식구성유형의 경우, 학습지원과 도입 변인이었다. 셋째, 모든 유형에서 학습상황 및 방향제시 변인이 학습전이수준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학습전이수준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들은 정보획득유형의 경우, 접근성과 표현 설계 변인이었고, 반응강화유형의 경우에는 동기화와 접근성 변인이었으며, 지식구성유형의 경우에는 동기화, 피드백 및 적합, 학습 목적 일치 변인이었다. 다섯째, 학습전이수준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예측 변인들은 정보획득유형의 경우, 자료 제공 변인이었고 반응강화유형의 경우에는 교수자 지원과 도움 및 도움문서 변인이었으며, 지식구성유형의 경우에는 수행지원도구 제공과 도움 및 도움문서 변인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corporate employee s perception about Instructional Design for corporate e-Learning and the level of the Perceived Learning Transfer,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al Design for corporate e-Learning and Perceived Learning Transfer.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the employees who have attended corporate e-Learning within 6 months, but some employees who have been taking e-Learning within 2 Months were excluded. And this corporate e-Learning was held by the company. Using judgemental sampling technique, 500 corporate employees of 10 companies were sampled for the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Instructional Design for corporate e-Learning scale based on LORI(Learning Object Review Instrument) 1.5 by Vargo, Nesbit, Belfer, & Archambault(2003), Vargo, Nesbit, Belfer, & Archambault(2003) s OLES(Online Learning Environment Survey), and UIDH(Usability and Instructional Design Heuristics) by Reeves etl.(2002), Learning transfer scale by Lee(1995), and demographic questions was used. Based on the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made as follows: 1. Future research should be followed by more specific classifications for the other variables in learning transfer. 2. Future research should seek some sophisticated and various methods in measurement for learning transfer. 3. Future research should find some possible factors of learning transfer effect which only relate to e-Learning by experimental stud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