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농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

An Evaluation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 11

이 연구의 목적은 2006년 농림부의 국고지원을 통해 77개 기관에서 운영된 총 157개 농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율성 및 성과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을 수립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별 모니터링, 프로그램별 자체보고서, 농업교육훈련 담당자 질의응답을 실시하였으며,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최종 평가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평가에 활용된 평가기준은 4개 평가영역, 16개 평가항목, 26개 평가지표로 구성하였다. 평정을 위한 체크리스트에서 각 평가지표를 2~4단계의 실행수준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표별 점수가 산출되었다. 평가등급은 A등급(90점 이상), B등급(80점 이상), C등급(70점 이상), D등급(70점 미만)과 평가유보로 부여하였다. 농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평가결과는 A등급 43개(27.4%), B등급 70개(44.6%), C등급 33개(21.0%), 평가유보 11개(7.0%)로 나타났다. 그리고 농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유형별 평가영역과 항목에 대한 평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농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평가를 바탕으로 한 농업교육훈련의 종합적인 개선방안을 기관별 중장기 교육프로그램 체계 구축, 교육대상자 확대 및 이력관리, 예산지원 체계 개편, 교육기관별 프로그램 특성화, 교유기관 및 프로그램 인증제 도입, 교육대상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다양화, 농업교육훈련 담당자 역량 개발 지원, 비농업관련 강사진의 농업소양교육 지원, 우수사례 벤치마킹 및 활용 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up evaluation about efficiency and performance in total of 157 agricultural education & training program operated by 77 institutions through the support from the ministry of agriculture in 2006. Monitoring, in-house report in each program, and survey of HRD practitioner in the field of agricultural education & training was performed and result of evaluation was finalized through committee of evaluation. In addition, evaluation standard was composed of 4 domains, 16 sub-domains, and 26 indicators. The score for each indicator was decided based on a checklist, which has 2 to 4 levels for each indicator. And evaluation grade was consisted of As(over 90), Bs(over 80), Cs(over 70), Ds(under 70) and Undecided. The overall result of evaluation agricultural education & training program was rated as 43 As (27.4%), 70 Bs (44.6%) 33 Cs (21.0%), 11 of undecided (7.0%). Grade point indicating domains and sub-domains of evaluation according to program type was driven. Based on this direction of improvement regarding agricultural education & training program was suggested as follow: ① Set up middle- and long-term system of education program in every institution, ② expand learning opportunities to farmers and resume management ③ improve budget supporting system ④ customize program according to institutions ⑤ introduce certification of education institution and program ⑥ diverse program according to farmers characteristics ⑦ support competency development of HRD practitioner in the field of agricultural education & training ⑧ support agriculture-related education for non-agricultural instructors. ⑨ support the utilization of best practic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개발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